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하이브리드성형기에 의한 박육성형 시스템

전문가 제언
□ 박육성형은 자원의 절약이라는 관점에서도 요청이 점차 강해지고 있는 분야이며, 한편으로는 경박단소를 지향하는 전자제품 등의 제조에서도 주된 연구 대상이 된다. 예로 핸드폰을 들어 보면 Nokia 다음으로 삼성전자가 최대 메이커인데, 이 위치를 고수 또는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기능은 더욱 복잡해지면서 무게는 가벼워져야 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해야 한다.

□ 제품의 두께를 결정하는 것은 성형기, 수지, 금형의 디자인 등 여러 요인이 종합 검토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성형기는 사출압력을 높여 단시간에 좁은 수지의 통로를 고화하기 전에 통과하게 함과 동시에, 형체압을 높여 수지가 삐져나오는 바리의 현상을 막아야 한다. 금형은 런너의 디자인 등을 교묘하게 하여 유변학적 기하학적 저항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수지는 흐름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며 회사에 따라서 고유동성 그레이드를 생산하기도 한다.

□ 우리나라에서도 사출성형기나 금형의 기술은 국제적 수준으로 향상되었다고 본다. 0.3mm 제품 두께를 달성하기 위한 수지, 금형, 사출기의 생산은 이미 완성되어 있다. 문제는 생산성을 어떻게 극대화하고 더욱 고부가가치화 하여 무서운 속도로 추격해 오는 중국 등의 신흥 공업국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느냐 하는 것이다.
저자
Yoshihiko Nagat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5
권(호)
51(2)
잡지명
Plastics age(D045)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80~84
분석자
박*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