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플라스틱의 자동차 부품 시스템에 대한 전개-2015년을 목표로

전문가 제언
□ 플라스틱이 자동차에 사용된 역사는 길지만,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라는 개념의 정착, 점점 급박해지는 에너지 절감을 위한 경량화, 그리고 승차자의 안전을 고려한 설계에 필요한 고분자 소재의 기능적 특성 등 크게 세 가지 분야의 요구에 플라스틱이 잘 대응되어, 자동차에 적용되는 것은 점점 그 범위와 양적인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다.

□ 자동차의 연비와 무게는 서로 반비례하기 때문에 선진국에서는 연비를 적극적으로 개선하는 계획을 실시하기도 한다. 따라서 기능을 유지하면서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금속에서 플라스틱으로 전환은 필연적이다.

□ 안전성은 자동차가 추구하는 최종의 목표라 해도 무방하다. 요즈음은 이글에서 소개한 에어백이 대부분의 자동차 기종에 장착되어 생산되고, 선진국을 중심으로 시기는 다르지만 장착이 의무화되고 있다. 또한 측면 에어백 및 에어커튼 등이 사용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안전부품에 관련된 고분자 소재의 적용은 지속적으로 늘어 날 것으로 예상된다.

□ 현재까지는 수동적인 안전성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안전의 대상도 차에 탄 사람을 중심으로 이행되었다. 그러나 앞으로는 예방적 차원과 보행자를 위한 설계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하겠다. 특히 시스템의 지능화에 의한 인간의 실수를 좀더 줄이는 더욱 강력한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현재와 같은 연구개발 속도라면, 앞으로는 10년 후인 2015년에는 이 글에서 소개한 예방적 차원의 설계가 더욱 수준 높게 될 것이며 또한 실현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저자
Masao IWAN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5
권(호)
56(2)
잡지명
Japan plastics(A053)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90~96
분석자
임*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