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체막지질의 비대칭성이 세포기능의 제어에서 수행하는 역할(Roles of phospholipid asymmetry for cellular functions)

전문가 제언
□ 인지질은 동식물을 포함하여 미생물계에 이르기까지 모든 생물의 세포막을 구성하며 핵과 신경조직의 구성성분이기도 하다. 포유동물의 세포막은 물론 엽록체, 미토콘드리아의 내외 막, 골기체 막, 소포체 막, 핵막 등 생체막의 구조에 대한 모델은 1899년 Overton의 세포막 모델을 시작으로 여러 가지 제시되어 왔으며 현재 널리 인정받고 있는 모델은 1972년 Singer와 Nicolson등이 제창한 유동모자이크 모델이다. 이제 나노 시대에 활용할 수 있는 제3세대 현미경인 원자현미경(AFM)을 이용하여 비대칭성인 생체막의 동적인 막 동태를 생세포에서 직접 관찰하여 모델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 이러한 생체막과 세포질 내 소기관 그리고 핵의 막 성분인 인지질은 골기체에 의해 재생되어 보충되지만 외포작용에 의해 소실될 수 있는 인지질과 뇌의 인지질 등은 기능성식품등의 방법으로 보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선진국에서는 인지질이 가장 풍부한 계란 속의 난황을 원료로 하여 인지질을 추출하고 있다. 선진국형의 이러한 난황인지질의 제조는 현재 국내에서도 생산하고 있으며 선진국에도 수출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발달과정에 있는 유아나 어린이의 식품 등에 첨가제로서 사용하는 고순도의 인지질에 있어서도 국내에서 충분히 규격에 맞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 또한 피부세포의 개선을 위해 피부영양제의 한 성분으로서도 중요하므로 이에 대한 연구를 특성화 할 필요가 있다. 인지질을 포함한 지질의 연구는 단백질이나 전분질에 비해 소비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그동안 체내 에너지 저장측면에서만 관심을 가졌으나 최근에 와서 지질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포화지방산이나 콜레스테롤)이 부각되면서 비만, 고혈압 등에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고 앞에서 언급한 긍정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지질을 비롯하여 오메가 3그룹 지방산인 필수지방산은 물론 오메가 6그룹 지방산 등 인체의 생리활성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는 지질에 대한 연구가 종합적으로 체계 있게 연구되어야만 할 것이다.
저자
Koji Saito ; Konomi Fujimura-Kamada ; Kazuma Tanak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5
권(호)
50(2)
잡지명
단백질핵산효소(A020)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48~154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