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스타글란딘 J2의 화학과 생물(Chemistry and Biology of Prostaglandin J2)
- 전문가 제언
-
□ 각종 지방산으로부터 생합성 되는 생물활성물질 중 아라키돈산 cascade에 의해 생산되는 PG류는 특히 강한 생리활성을 나타내어서 다른 아라키돈산 cascade 대사산물과 함께 새로운 의약품개발의 소재로서 주목을 끌고 있다. 천연의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은 그 생합성기전으로부터 모두가 우수의 탄소 쇄를 갖는 것이 대부분이며 기수의 것이나 말단이 분지된 지방산은 acetyl CoA 대신 propionyl CoA 나 아미노산에 유래하는 분지지방산 CoA에 의해 생합성 된다.
□ 대표적인 생리활성물질인 PG는 생체로부터 얻어지는 량이 극미량이어서 또한 결정이 어려워서 구조구명이 1960년대에 와서 가능하게 되었다. 1970년대에 와서 PG의 전합성이 완성되어 생리활성 연구나 의약품개발의 후보물질로서 각광을 받게 되었다. 1971년 Vane이 아스피린과 같은 비스테로이드 성 항염증제의 작용이 PG 생합성 억제라는 것이 구명된 이래 PG생합성에 대한 연구가 진전되어 다양한 생합성경로가 밝혀졌다. 최근 천연물성분이 염증 mediator인 PGE2를 억제한다는 연구결과가 속속 보고 되고 있다.
□ 아라키돈산 cascade 대사산물에는 PG 이외에 thromboxane, leukotriene 류가 밝혀졌다. 지금까지 분리된 다수의 PG는 규칙적으로 명명되었는데 소위 고전적 PG로 명명된 것 중 PGE1, E2, F1α, F2α, F3α는 생체 내에서 실제로 작용하고 있는 PG로서 primary PG로 부르며 이로운 mediator가 있는가 하면 해로운 작용을 하는 mediator도 있다. 최근 PGD2의 생합성효소, 분해효소가 뇌 및 신경조직에 다수 분포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져서 PGD2의 생체 내 역할이 주목되었다. 특히 흥미 있는 것은 PGD2의 탈수물이 활성을 나타내며 가장 새로운 PG로서 지금까지 알려진 PGI2의 다음 PG라는 의미로 PGJ2로 명명되었고 primary PG로 생각된다. PGI2는 토끼 대동맥 혈관 벽 세포의 마이크로솜과 PGG2(prostacyclin)을 배양하면 얻어지는 물질로서 동맥평활근 이완, 혈소판응집 저해작용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그 유도체인 PGJ2의 생리작용이 좀 더 확실히 밝혀진다면 신약후보물질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Takahiro SHIBATA ; Koji UCHID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5
- 권(호)
- 43(1)
- 잡지명
- 화학과 생물(L10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0~27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