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래 가지고 있던 유전자를 변형시켜 새로운 물질을 만들거나 개체를 탄생시켜 인간에게 도움을 주는 것을 만들어 상용시켜야 하는 것이 유전공학의 의미이자 목적이다. 즉, 기술적, 산업적 프로세스에 생물학적인 기구를 응용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 속에는, 유전자 공학기술에 의해서, 인간의 손으로 변화시키거나 만들어 낸 새로운 미생물(novel microbes)을 이용하는 것도 포함된다.
□ 유전자 재조합 실험의 혁명적 연구기술의 등장은 의학과 생물학을 크게 변모시키고 있다. 동식물세포의 특정유전자의 cloning(균일한 DNA분자의 집단을 대량으로 얻는 것), 구조해석, 정보발현 등의 연구를 통해서 기초적 학문분야에서는 발생, 분화, 면역, 발암 등의 기구(mechanism)가 유전자 수준에서 해명되고 있고, 산업적 응용 면에서는 인슐린, 사람의 성장호르몬, 인터페론, 인터루킨 등의 약품, 치즈제조에 사용 되는 응유효소인 chymosin 등의 제조, 육종 면에서는 형질전환동물 (즉 외래 유전자를 도입한 동물)이나 형질전환식물 등의 육성 등 이미 많은 실시사례가 발표되고 있고, 또 의학 분야에서는 유전자진단, 유전자치료 등이 시작되고 있어 생물학적 응용에 의한 무궁한 미래가 보인다.
□ 최근 생명공학에서는 생물의 기능을 조금 더 상세히 "생물이 갖는 유전, 번식, 성장, 자기제어, 물질대사, 정보인식-처리 등의 기능을 인간생활에 유익하게 사용하는 새로운 생물이용기술" 이라고 정의하고, 특히 "인류의 생활, 생존, 환경의 보전에 소용이 되는 생물 종, 물질, 기기, 기구 등을 연구, 생산하는 기술"임을 강조하고 있다. 여기에 기구(機構)가 들어있는 것은 생명공학기술로 인위적으로 만든 형질전환 생물이 인간의 생태환경을 오염 시키는가 어떤가를 확인, 점검하는 조직적 기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