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기능의 유산균 탐색(Searching for Lactic Acid Bacteria with Novel Functions)
- 전문가 제언
-
□ 유산균은 인류 역사의 식생활에 관련하여 젖산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젖산에 의해서 병원균과 유해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성질을 이용해서 요구르트·치즈, 김치류, 청주 ·된장 ·간장 빵 등의 식품제조에 이용하여왔다. 또한 포유류의 장내에 서식하여 잡균에 의한 이상발효를 방지하여 정장제(整腸劑)로도 이용되는 중요한 세균이다. 이러한 전통적으로 유산균의 고유의 기능 외에 최근에 과학적으로 새로운 기능이 발견되고 있다.
□ 장내에 서식하고 있는 유산균을 비롯한 미생물들은 장의 항상성을 유지시키고, 상피세포, 점막면역 체계 및 근신경 활동에 대한 전달제어 신호를 조절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며, 미생물 자체가 영양소원이 되기도 하고 음식물에 함유된 발암성 물질의 해독 및 인체에 유용한 대사산물을 생산한다.
□ Probiotics는 살아있는 미생물로서 건강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주로 유산균으로 Lactic acid bacteria, Bifidobacteria 및 다른 비병원성 세균을 의미한다. 그러나 Probiotics를 이용한 염증성 장염치료는 다른 합성약물을 이용한 치료에 비하여 안전성에 있으나 의학적인 치료제로서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아울러 유용한 미생물의 탐색과 이용방법 개발연구는 언제나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 소득수준, 지리적 특성, 생활방식, 섭취하는 음식물 등의 차이에 의하여 인간의 질병 발생 및 장내 미생물군의 분포에서 차이가 있으며, 또한 우리의 음식에서도 유산균발효를 이용한 김치 등 발효식품류의 비율이 높은 식생활 방식에서 보면 유용한 Probiotics의 탐색 가능성은 높다고 보여 진다. 따라서 이러한 분야의 심층적인 연구는 새로운 유용물질 탐색은 물론 질병의 예방과 국민의 건강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다.
- 저자
- Fusao Tomit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5
- 권(호)
- 22(1)
- 잡지명
- Bio industry(G28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55~65
- 분석자
- 차*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