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의 다양한 병원성의 발현기구(Mechanisms for Expression of the Diverse Pathogenicity of Cucumber mosaic virus)
- 전문가 제언
-
□ 1900년대 초 영국과 프랑스의 세균학자들에 의해 발견된 바이러스의 현상은 당시 광학현미경으로는 볼 수 없었으나 그 후 전자현미경이 발명됨으로서 동물, 식물바이러스를 비롯하여 박테리오파지의 실체를 발견하게 되었다. 이중에 식물바이러스의 종류는 2002년 현재 국제 바이러스 명명위원회(ICTV)와 바이러스 분류동정 정보교환(VIDE)에 등록된 수가 957종에 이른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일반 생명체인 세포의 구조와는 달리 바이러스는 단지 핵산(DNA 또는 RNA)과 단백질로만 구성되어 있으면서 숙주 내에서 자기증식 함으로써 동식물은 물론 균체에까지 해를 주는 생명체이다.
□ 그동안 세균과 같이 바이러스도 항바이러스제에 의해 내성을 가지게 되고 그로 인한 수많은 변종이 계속 생기면서 인간뿐만 아니라 모든 생물에게 가장 무서운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사스, 에볼라, 에이즈, 구제역, 조류독감 등 앞으로도 계속 새로운 변종이 발생할 것이다. 예를 들어 항바이러스제(예: 제픽스)나 면역조절제로 치료하는 B형간염 바이러스도 이들에 대한 내성을 가진 변종 바이러스가 생기면서 현재로서는 이를 예방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이 없다는 사실이다. 약 200종류가 넘는다고 추정되는 감기 원인 바이러스와 최근 밝혀진 인플루엔자 A, B, C, D 4가지 독감 원인 바이러스도 그 빠른 변종에 의해 인간이 아직도 해결하지 못하는 급성질환의 하나가 되고 있다.
□ 식물바이러스에 의한 피해 역시 수확량의 감소와 품질의 저하(예: 화훼)등 여러 가지 상태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 보고에 의하면 토양 전반성 밀 모자이크바이러스(SBWMV: Soil-Borne Wheat Mosaic Virus)에 감염된 겨울밀의 수확량이 40~50% 정도 감소되었다고 한다. 더욱이 병충해의 균과 곤충을 숙주로 하는 박테리오파지나 바이러스의 인체에 대한 영향 역시 부정할 수 없는 측면이 있으리라 추정되므로 이 분야와 함께 다양한 바이러스의 구성성분인 핵산과 단백질에 대한 서열과 구조 및 기능 등 기작의 물리적, 화학적인 성질뿐만 아니라 이들의 유전학적인 생명현상을 밝힘으로서 바이러스를 정복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 저자
- Yoichi TAKANAM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5
- 권(호)
- 43(2)
- 잡지명
- 화학과 생물(L10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90~95
- 분석자
- 백*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