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저에너지 고입자속 헬륨 중수소 플라즈마 조사에 의한 텅스텐 표면의 기포결함 연구(Mesoscale Erosion of Tungsten Surface due to Low-Energy High-Flux Helium/Deuterium Plasma Irradiation)

전문가 제언
□ 핵융합로의 개발에 재료의 선정이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핵심과제로 대두되어 있는 실정에 있다. 이 시점에 핵융합로의 구조용 재료로 사용되는 텅스텐 재료가 헬륨 플라스마 조사에 의해서 치명적인 표면 손상을 받은 사례에 대하여 소개된 자료는 핵융합로의 개발에 필수적인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일본 Nagoya대학에서 모의실험장치인 NAGDIS-1호와 -2호를 이용하여 텅스텐을 표준판으로 사용하여 실험실적으로 연구한 전반적인 내용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향후에 국내에서 핵융합로를 자체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기술 자료에 대한 정보수집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 헬륨에 의해서 발생된 기포 결함에 대한 현상을 분석하고, 텅스텐 표면에 형성된 미크론 크기의 헬륨 기포가 텅스텐의 물성변화에 끼치는 영향을 측정하였으며, 헬륨 기포가 발생하는 조사조건과 입사에너지의 한정치를 검토한 연구내용은 핵융합로의 구조용 재료에 있어서 결함 해결에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자료이다.

□ 텅스텐 재료의 기포결함에 대한 입자속 의존성, 초장시간에 의한 텅스텐 표면의 양상, 기포와 기공이 플라스마 열원에 끼치는 효과, 물성정수에 주어지는 효과의 정량화, 탄소 등의 재료혼성이 있는 경우에서의 텅스텐 탄화물의 편석효과 등 향후에 연구할 수 있는 과제를 광범위하게 기술하였으므로 연구개발 항목에 대하여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을 사료된다.

□ 플라스마 대향벽(對向壁) 재료로서 저방사화 페라이트강의 개발에 대한 중점사항과 텅스텐 채용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경우에 초점이 되는 사항들을 소개하였으므로, 향후에 재료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이다.
저자
TAKAMURA Shuic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5
권(호)
81(1)
잡지명
Journal of plasma and fusion research(N073)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5~30
분석자
유*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