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대용량 진공 차단기의 개발 -진공 아크의 제어(Development of High Interruption Capability Vacuum Circuit Breaker : Technology of Vacuum Arc Control)

전문가 제언
□ 진공 개폐기기는 84㎸ 이하의 개폐장치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최근 전원설비 등은 고전압 대용량화의 추세이며, 전원설비 기기는 소형‧경량화의 경향으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진공 중의 절연 기술, 대전류 차단 기술의 연구가 필요하다.

□ 근래에는 SF6 차단기를 직렬로 접속하여 교류대용량 및 직류 차단기로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개폐기기가 지구 환경에 주는 영향과 사용 시에 주위 환경에서 받는 영향 또는 주는 영향, 즉 사용 환경에 대하여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는 관련 규격을 규정하였으며, LCA(Life Cycle Assessment)를 실시하는 데 필요한 ISO 14047의 평가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 진공개폐 기기는 주위 환경 등에 의하여 열화되나, 개폐기의 핵심부인 전극의 열화는 전류 차단 시 아크방전에 의한 전기적 소모가 지배적이다. 그러므로 전극 소모에 의한 차단 불능, 이상 과열의 발생을 억제하여야 하며, 차단 시의 아크 현상, 즉 진공 중의 방전 현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것은 새로운 제품의 개발과 기존 제품의 전기적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방법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 근래 전력의 안정 공급에 대한 요구가 높고, 설비 면에 있어서도 신뢰도가 높은 밀폐형 기기가 많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기에 만일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교체나 복구에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것으로, 기동성이 높은 이동용 변전설비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개폐기기(차량 탑재용)가 외국에서는 이미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따라서 외국의 추세 등을 고려한, 소형경량으로 단독 사용이 가능하고, 복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동용 개폐기기의 활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저자
NIWA Yoshimitsu ; KANEKO Eij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5
권(호)
81(1)
잡지명
Journal of plasma and fusion research(N073)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5~11
분석자
유*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