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도금법에 의한 고포화 자속 연자성 박막 개발(Electrodeposition of Soft Magnetic Thin Films with High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 전문가 제언
-
□ 하드디스크(HDD)로 대표되는 자기기록 저장장치는 기록정보 MB당 가장 저렴한 저장방법이다. 최근 조사된 세계시장 동향에 따르면 PC용 HDD는 2억 개에서 1.96억 개로 다소 줄었으나 가전분야는 2.13억 개에서 3.52억 개로 크게 신장되고 있다.
□ 기록밀도의 향상은 곧 자기헤드의 고기능화에 의존한다. 고밀도의 자기기록 헤드의 개발은 MR(Magneto-Resistive)방식을 도입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기록밀도의 향상은 3Gbit/in2의 AMR(Anisotropic MR) 헤드로부터 현재 주종인 10Gbit/in2급의 GMR(Giant MR)을 거쳐 TMR (Tunneling MR) 및 CMR(Colossal MR) 등 100Gbit/in2급으로 향할 전망이다.
□ 자기기록의 초 고밀도화는 헤드의 재료뿐만 아니라 현재의 CIP (Current in Plane) 기록방식을 CPP(Current Perpendicular to Plane)로 대체하는 것과 아울러 제작기술의 정밀화도 함께 주구해야 가능하다. 제작기술 중에서 전기도금법이 가장 경제적이고 후막의 제작이 가능하여 HDD의 대량보급을 위해서는 이 분야의 기술개발이 필수적이다.
□ 이 글에서는 이러한 산업추세에 맞추어 고기능성의 연자성 박막을 전기도금법으로 제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헤드의 고기능화와 관련하여 도금조건에 따른 고보자력(Hc), 고포화자속밀도(Bs), 고비저항(ρ), 자기뒤틀림(λ) 등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 이 글에서는 고포화 자속밀도의 연자성 박막으로 Co-Fe 합금도금의 가능성을 제시했으며 포화자속밀도에 영향을 주는 첨가제의 사용, 철산화물과 같은 불순물의 제어, 열처리 등 실제 헤드 코어재료의 특성과 제작에 관한 제반사항을 검토하고 있어서 이 분야 기술개발에 크게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T. Osaka ; T. Yokoshi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5
- 권(호)
- 29(2)
- 잡지명
- 일본응용자기학회지(B19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59~65
- 분석자
- 윤*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