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이에 관련된 전설, 사실 및 시사점-(Natural gas hydrates: myths, facts and issues)
- 전문가 제언
-
□ 지구과학 분야에서 메탄 하이드레이트는 에너지공급, 기후변화 및 자연재해라는 3가지 중요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데도, 실질적인 자원으로서의 잠재성과 환경에 미칠 영향력은 별로 알려진 것이 없고, 아직도 이용의 가능성과 인위적인 혼란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남아 있다.
□ 최근 까지 지구상 해저와 영구동토 지역에서 58개소의 하이드레이트 광상이 확인되었으며, 하이드레이트층 1km2당 Hydrate Ridge에는 4.67억m3의 메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일본의 Nankai Trough에는 7.56억m3, Blake Ridge에는 15억m3, Mallik에는 50억m3의 메탄을 함유하고 있으며, 알라스카, 시베리아, 캐나다의 북극 군도(Archipelago) 등지에도 유사한 양의 메탄을 확인하였으며, 그 밖에 인도, 과테말라, 중국 등지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 지구상 하이드레이트 중에 저장된 천연가스의 양은 20,000조m3로 평가되어, 지구상 다른 모든 탄소 저장소가 가지고 있는 것보다도 많은 양의 탄소를 포함하고 있다. 고체상 하이드레이트 내에는 1019g의 탄소를 메탄으로 함유하고 있어서, 21세기 에너지 공급원으로서 자리매김을 확실하게 하고 있다. 에너지 수요를 석유와 가스에 의존해온 국가들은 대륙사면 부근에 함유된 거대한 하이드레이트 매장량으로 자급자족이 가능하게 될 것이며, 일본은 10년 내에 상업생산을 준비 중이다. 북미도 하이드레이트로 에너지 공급문제는 걱정할 필요가 없게 되는 등 하이드레이트 개발을 위한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동해 울릉분지 서부 천부 퇴적물에 대한 총 4,782 L-km의 다중 채널 탄성파 탐사결과 하이드레이트 부존을 지시하는 탄성파 BSR을 확인하였으며, 수심 846~2,147m에서 코아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여 800여개 시료에 대한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 TOC) 분석결과 가스 하이드레이트 생성조건인 TOC 함량 0.5% 이상임이 확인되어 하이드레이트 부존 가능성을 확인한 바 있으나, 아직 매장량 확인을 위한 시추탐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앞으로 IODP(통합심해시추 프로그램)를 통한 시추탐사를 계획하고 있는 실정이다.
- 저자
- Benoit Beauchamp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기초과학
- 연도
- 2004
- 권(호)
- 336
- 잡지명
- C.R. Geo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기초과학
- 페이지
- 751~765
- 분석자
- 오*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