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비용효율적인 개입으로, 얼마나 많은 신생아를 구할 수 있을까?(Evidence-based, cost-effective interventions: how many newborn babies can we save?)

전문가 제언
□ 이 보고서는 신생아 사망에 대한 두 번째 연속 보고서로 신생아의 사망을 감소할 수 있는 개입을 이미 제시한바 있다. 그러한 내용은 대체로 보건관리를 위한 전초기지를 조성하고 가족과 지역사회의 공동체를 활용한 보건체계를 향상시키고 그리고 포괄적으로 포장된 개입을 필요로 하고 있다.

□ 전 세계적으로 비용이 지나치지 않게 포괄적인 개입을 잘 적용하게 되면 신생아의 사망을 41~72%까지는 감소할 수 있다고 본다. 다만 가족과 지역사회의 보건체계만을 갖추게 하더라도 신생아 사망은 상당부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포괄적인 개입 프로그램과 기존의 보건체계에서 기술적인 보살핌과 교육을 통해서도 50%는 감소할 수 있다는 견해다. 따라서 아동과 산모의 임상치료를 동시에 확장함으로써 소위 아동생존에 대한 세기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으리라 본다.

□ 우리나라에서도 아주 오래된 일은 아니지만 신생아의 20~30%는 출생 후 1년 안에 사망하고 출산율도 한 가족이 5~6명을 넘는 때가 있었다. 지금은 출산율이 낮아 정부가 출산을 장려하고 있으며 젊은 층 감소의 연령비율을 걱정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저소득 국가에서는 신생아의 사망률이 현저하게 차이를 보이고 있다.

□ 선진국에서는 신생아에 대한 병원시설은 물론 산후 조리원 까지 있어 신생아 사망률은 1~2%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러한 1~2% 중에는 유전적인 원인이 대부분이나 특히 미성년자 산모의 자체문제로 인한 유산이나 조산이 많고 따라서 태아 및 신생아에 대한 합병증도 증가할 수 있다. 또 임산부의 약물복용, 흡연, 음주 등에 의한 장애아의 분만 빈도가 증가하며 나아가 많은 산모에서 장애아의 출산율이 높다는 보고도 있다.

□ 이러한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에서는 신생아의 사망에 대한 특별한 의료체계나 특별한 조치가 필요한 실정은 아니며 다만 젊은 연령층에서 적절한 결혼 시기와 출산 시기를 늦추지 않도록 장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자
Darmstadt, GL; Bhutta, ZA; Cousens, S; Adam, T; Walker, N; de Bernis, L; CA Neonatal Survival Steering Team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5
권(호)
365(9463)
잡지명
LANCET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977~988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