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골 관절염의 통증 관리와 병원론(Pathogenesis and management of pain in osteoarthritis)

전문가 제언
□ 골관절염(骨關節炎)은 골관절 하부에 있는 활액관절(synovial joint)의 장해로서 병리학적으로 관절연골 손상(關節軟骨損傷)이 부분적인 손상으로 인해 관절 말단부분의 새로운 골형성과 관련이 있는 골증식증(osteophyosis)이 하중(荷重)으로 인해 부분적인 하부 연골뼈의 변화와 활액막의 다양성과 관절피막의 조밀화등으로 질병이 발전된다. 관절공간(關節空間)이 좁아지고 골증식체(osteophyte)가 일어남으로서 하부연골뼈에서 변화가 나타나는 것이며, 골관절염은 신체의 어느 부분의 활액관절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나 주로 손, 무릎, 골반(둔부) 및 척추에서 일반적으로 흔히 발생한다.

□ 관절통(關節痛)은 일반적인 공동체에서 노인들에게 매우 흔하며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통증은 모집단인 영국에 있어서 모집단의 약10~15%가 관절통증을 호소하며 그중 약25%는 무릎통 또는 요통(腰痛)등의 국부 관절통이 일반적이나 어떠한 국부 관절통이 있는 사람들이 골관절염으로 진행되는지에 대한 의생태학적(醫生態學的) 명확한 기준은 아직까지 규명되지 않고 있다.

□ 골관절염은 노화과정(老化過程)에 있어서 흔히 있는 통증으로 심각한 질환으로 보지 않으나 골관절염의 당사자는 생의 의욕조차 잃을 정도의 고통을 호소한다. 근골격 동통(Musculoskeleral ache)의 경직화로 인한 골관절염이 경제적이고 개인적인 부담을 주는 관절교체(關節交替)의 수요증가 추세로 판단할 때 의학적인 관리의 적용을 고려하여 골관절염에 대한 예방수단을 강구하여야 하며 관절손상에 대한 주요 위험인자중 몇 가지는 잠재적으로 수정이 가능하며 비만과 관절상해의 비율 역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저자
Dieppe, PA; Lohmander, L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5
권(호)
365(9463)
잡지명
LANCET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965~973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