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항공여행 중 감염성 질병의 전염 (Transmission of infectious diseases during commercial air travel)

전문가 제언
□ 여객기 기내에서의 감염 질병의 전염은 최근에 큰 관심사가 되고 있다. 세계 여러 곳으로의 항공편수가 늘고 비행여행 가격이 대중이 이용할 만큼 되어 항공여객이 날로 늘고 있는 실정이어서 승객의 전염문제가 심각한 상태이다. 더욱 문제가 되는 점은 유행하고 있는 전염병이 비행승객에 의하여 세계 각처로 확산된다는 사실이다. 비행기로 이동, 전염될 수 있는 질병들은 말라리아, 콜레라, 결핵, 뎅그열, 에볼라 등이며 이들은 오염된 음식과 식수(콜레라, 식중독), 화장실(이질), 직접 체액으로(AIDS, 간염), 해충 벡터(말라리아, 뎅그열) 및 공기(감기, 인플루엔자)로 전염된다.

□ 이 글에서 언급이 안 된 전염병으로 west nile fever가 1999년에 뉴욕에서 발생하여 62명이 감염되고 7명이 사망하였다. 이는 서구에서 처음으로 west nile 바이러스 감염이 발생한 기록이다. 원인은 중동에서 도착하는 승객으로부터 감염되었다고 본다. 결과적으로 현재 이 해충에 매개된 바이러스는 환경에 적응하여 미국전체는 물론 캐나다에서도 발견된다. 첫 발생 18개월 만에 50%의 미국영토가 감염된 정도이다. 다른 큰 감염사건은 2002년에 발생한 SARS로, 이는 21세기에 가장 심각한 전염병이며, 비행기가 새로 생긴 감염 질병들을 곧 범세계적인 질병으로 옮길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비행기 승무원들은 물론이고 공중위생 당국자들, 의료 종사자들이 비행기로 전염되는 질병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야 하며 지방정부나 국제당국이 준비한 가이드라인을 잘 익혀두어야 한다.

□ 하나의 방지책으로 벡터 매개성 질병이 발생한 곳으로부터 출발 및 도착하는 비행기를 잘 소독하도록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에 명시되어 있다. 소독 방법은 비행기가 이륙 혹은 착륙하였을 때 빨리 작용하는 살충제 pyrethroid로 기내식당 부분을 제외하고 정기적으로 분무한다. 승객들이 살충제를 분무하는 것에 불안을 느끼지만 소독은 안전한 방법이며, 지금까지 지시한 소독방법으로 여객이나 승무원에 독성위험이 있었다는 증거는 없다.
저자
Mangili, A; Gendreau, 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5
권(호)
365(9463)
잡지명
LANCET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989~996
분석자
이*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