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전지의 개발동향조사(Fuel cells: a survey of current developments)
- 전문가 제언
-
□ 실용가능성이 밝혀진 뒤, 많은 기업과 여러 정부기관이 연료전지를 개발하여 왔고, 수소-탑재 연료전지 자동차는 비록 리스판매이지만 한정적으로 시판에 들어갔다. 직접메탄올 연료전지는 노트북 PC로 대표되는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 이 보고서는 용도별로 다양한 연료전지를 소개하고 실용화를 위해 극복해야 할 과제들을 열거하고 있다. 그러나 6가지나 되는 연료전지와 다른 연료의 공급인프라 구축은 현명하지 못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 환경친화적이며 국내 에너지자원의 활용으로 해외의존율 저감을 통한 에너지안보를 기할 수 있는 수소경제 사회실현은 필히 달성해야 할 목표이다. 우리나라도 성장동력 산업기술 개발과제로 선정하여 국가적으로 개발하고 있고, 휴대 전자기기용 연료전지 분야에서는 삼성종합연구원 등이 세계적 수준의 기술로 선도하고 있다.
□ 산업적 영향력이 큰 승용차 부문에서는 UTC의 연료전지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고, DynTech의 고압수소 공급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등 국내 개발기반의 취약함이 노출되고 있다. 엔진-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겪은 것과 같은 지체는 연료전지 자동차에서 허용되지 않는다.
- 저자
- M.Cropper, S.Geiger, D.Jolli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131
- 잡지명
- Journal of Power Sour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57~61
- 분석자
- 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