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상중합(Solid state polymerization)

전문가 제언
□ 고분자가 등장하여 인류의 실생활 및 산업 분야에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지도 50년을 훨씬 넘어섰다. 나일론이 발명된 이래로 폴리에스테르 등을 거처서 소위 5대 범용 플라스틱이 그 전성기를 넘어서고 있다. 이제는 대량생산 체제로 기술이 발전하여 더 이상 기술집약적 산업 분야가 아니라 자본과 원료의 가격 경쟁력의 세계 시장이 되어 가고 있다.

□ 중합의 반응 메커니즘으로 보면, 폴리올레핀으로 대표되는 부가반응(addition polymerization)과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로 대표되는 중축합 반응(polycondensation reaction)으로 대별할 수 있다. 1960년대 이후 80년대까지는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가 합성섬유 제조용으로서 그 번성기를 가졌으나, 1970년대 이후에는 획기적인 촉매 기술과 공정 대량생산 기술의 발전으로 5대 합성수지의 확대가 두드러져 왔다.

□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는 중합 방식의 특수성에 따라 고분자량의 중합물을 얻는 데 한계가 있다. 이 해결책으로 고상중합이 실행되어 왔다. 고상중합물의 대표적인 용도는 PET의 경우 PET Bottle과 타이코트용 등 산업자재 분야이고, 나일론의 경우는 타이어코드용 산업자재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분야가 대표적이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의료용 섬유 분야는 중국 및 제3 국가들의 참여로 더 이상의 생산량 증가는 없으며 현 시점에서는 감소 추세로 진입하고 있다.

□ 한국으로서는 중합 설비의 활용도를 높이고 공중합물 및 특수 기능이 부여된 고분자를 생산하지 않으면 국제 경쟁에서 버티지 못하고 사양길을 걷는 절실한 입장이다. 그러므로 기존의 설비를 충분히 활용하고 고상중합과 같은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과 투자를 하여 새로운 성장의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
저자
S.N. Vouyiouka, E.K. Karakatsani, C.D. Papaspyride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5
권(호)
30
잡지명
Progress in Polymer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0~37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