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내장시스템을 위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접속면 공동설계(Hardware/Software Interface Codesign for Embedded Systems.)

전문가 제언
□ 가전기기나 의료기기가 날로 복잡한 기능으로 발달하기 때문에 내장 컴퓨터 시스템도 점점 복잡해져간다. 이러한 복잡한 내장 시스템의 설계는 기존의 간단한 가전기기에 쓰던 ASIC의 설계기법인 하드웨어 단독설계 소프트웨어 단독설계로는 그에 소요되는 복잡도, 시간, 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그 대안으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접속면 공동설계 기법을 채택하면 이질적 구성요소들을 통합할 수 있게 하여 내장 시스템이 요구하는 비용, 시간, 성능으로 완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소프트웨어 단독 설계에서는 CASE 같은 소프트웨어 기술 도구를 사용하여 최적화 시킬 수 있다. 그러나 내장 시스템에서는 소프트웨어는 접속면을 통해 하드웨어와 맞물려있다. 즉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접속면에서 나오는 각종 신호를 독취 하고 또한 보내야한다.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보면 이러한 하드웨어 신호는 소프트웨어 모듈(API)로 대체하면 전체가 소프트웨어 문제가 되어 소프트웨어 도구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똑같은 논리가 하드웨어 설계에도 적용될 수 있고 결국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비정상 전압, 주파수 변동 등을 소프트웨어로 다루는 문제는 복잡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통합하는 기법이 필요하다.

□ 내장 시스템은 절실한 시간, 성능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질적 다중 프로세서로 구성되어있다. 이는 하드웨어가 다수의 병렬 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있고, 이에 따른 소프트웨어 병렬처리 문제, 병렬 프로세서 간 또는 프로세서 메모리 간 통신을 위한 통신망 구조 등의 복잡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문제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접속면 공동 설계로 즉 CPU를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공동 접속면에서 흡수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설계, 검증 통합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다.

□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접속면 공동설계는 비용 시간을 절약하고 병렬처리의 문제를 해결할 뿐 아니라 날로 발전하는 후발 하드웨어를 받아들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프로세서 기술과 메모리 기술이 많이 발달되는 머지않은 장래에 각 응용 분야 표준을 수용할 수 있는 만능 칩(Universal system on Chip: UoC)이 탄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
Jerraya, A.A.; Wolf, W.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5
권(호)
38(2)
잡지명
IEEE Computer Society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63~69
분석자
신*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