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에러 회복기능이 내포된 강건 시스템 설계(Robust System Design with Built-In Soft-Error Resilience)
- 전문가 제언
-
□ 본 연구에서 언급한 4 가지 소프트에러 검출 및 정정 방법은 모두 첨단기술로 제조된 SRAM, 연속소자, 조합소자 등으로 시뮬레이션 하여 검증결과를 발표한 것이다. 결과는 상기한 바와 같이 비교적 적은 추가 부담을 요구하는 반면 소프트에러 탄성에서 많은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여러 응용분야에서 여기나온 설계기법을 많이 사용하는 것이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 본 연구에서 제시한 소프트에러 회복력 사례는 일반 마이크로프로세서, 특히 많은 조합논리를 필요로 하는 통신장비, ASIC, SoC 등 다양한 적용분야에서 쓰일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의 SER 요구사항과 추가부담 등에 맞추어 각 설계기법을 수정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시스템의 주류는 최소한의 회로변경으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 장점으로 생각한다.
□ 90nm 이상 모든 SoC는 소프트에러에 민감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지상에서 사용하는 제품에서 100% SEU를 막는다는 것은 비용 대 필요성으로 볼 때 비현실적이다. 따라서 설계초기에 SER 목표치 설정과 함께 방어 회로설계 원형으로 시뮬레이션 기법으로 최적화하는 것이 다른 도구 사용과 함께 실용적 방법이 될 것이다.
□ iRoC Technology에서 실험 비교한 결과를 보면, 시간중복 기법은 면적 부담은 거의 요구치 않는 반면 성능 부담은 40% 내지 200%를 요구한다. 이는 대부분의 시간중복 방법이 소프트웨어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명령어 별로 비교하면서 수행하든지, 복사 본을 병행하여 2중으로 처리한 후 결과를 비교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설계자들은 적용분야의 시스템을 논리부분과 메모리부분 비율을 계산하여 어느 방법 하나를 택하여 전체에 적용할 건지 아니면 각각 다른 소프트에러방어기법을 적용할 것인지를 면밀히 계산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논리부분 대 비논리부분 비율이 2 : 8이고 100% 방어를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와 전부가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디코더 인코더로 구성된 경우는 구분하여 시행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 저자
- Milta, S.; Seifert, N.; Ming Zhang; Quan Shi; Kee Sup Kim.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5
- 권(호)
- 38(2)
- 잡지명
- IEEE Computer Societ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43~52
- 분석자
- 신*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