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시나리오 창출의 인지과학적인 뒷받침 {(Scenario Emergence) Cognitive Aspect of Scenario Emergence : Reciprocal Enrichment of Verbalization and Phenomenal Perception}

전문가 제언
□ 인지과학은 넓은 의미에서 인간을 중심으로 한 동물의 마음의 구조의 해명을 목표로 하는 연구 영역으로 심리학, AI, 철학, 언어학, 뇌과학, 동물행동학 등 많은 분야의 연구자가 공동으로 연구하고 있는 학술적인 연구 영역이다. 접근 방법도 다양하며, 인간의 인지 구조를 마음속의 현상 레벨에서 이해하려는 것과 그 목적을 위해 인간을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보는 2가지가 중심이 되는 특징이 있다.

□ 창출은 시스템의 상위 레벨에 구비되어 있지 않았던 기능이 명시적인 지정 없이 하위 레벨로부터 발현하는 것을 말한다. AL 및 최근의 AI에서는 시스템의 표에 나타나는 상위 레벨의 현상은 하위 레벨로부터 창출된다고 본다.

□ 시나리오 창출의 인지과학적인 이해는 시나리오 창출이 구성적 정보학의 사고방식의 전형적인 예임을 말하고 있다. 구성적 정보학에서는 지능은 정보 처리 현상을 자연과학적으로 외부에서 관측하여 분석하는 것으로는 해명되지 않는다. 정보나 현상의 실천적인 구성과 구성한 현상이나 정보의 분석이 필요하다. 실천적인 구성이란 계통의 내부 행위자로 내부 관측적인 관점에서 의사결정을 하고 행동하는 것을 가리킨다. 구성적 정보학의 주장은 구성하여 처음으로 분석할 수 있고, 분석에 의해 새로운 세계 인식이 얻어지고 그것을 기초로 새로운 구성을 한다. 구성 및 분석 사이클이 지능의 이해를 깊게 한다.

□ 시나리오 창출은 구성과 분석의 진화적인 루프로부터 성립된다. 시나리오 창출에서 구성은 사회 환경 중에서 의사결정하고, 행동하고,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것이다. 시나리오 창출에서의 분석이란 기회 발견을 하고 새로운 환경인식을 얻는 것이다. 시나리오를 작성하기 때문에 이전에는 지각할 수 없었던 기회를 발견할 수 있고, 그 발견을 기초로 다음 시나리오를 구성한다는 점이 구성적 정보학에서의 구성과 분석의 루프에 대응된다. 구성적 정보학은 새로운 과학적 방법론이 될 수 있고, 시나리오 창출의 관점에서 여러 사회 도메인의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모형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저자
Masaki Suw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5
권(호)
20(1)
잡지명
인공지능학회지(N316)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34~39
분석자
문*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