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단백질 쌀의 선별 기술(The Sorting Technique for Low Protein Content Rice)
- 전문가 제언
-
□ 식생활이 급격히 서구화되면서 쌀 소비량이 급격히 줄고 있지만, 쌀은 여전히 우리의 주식이다. 조금 더 맛있게, 건강하게 먹으려는 소비자들의 수요에 맞춰 쌀 시장도 변화하고 있다.
□ 지난 연말 쌀 수출국들과의 협상이 마무리됨에 따라 의무적으로 수입해야 하는 물량은 늘어나고 고관세화는 일정기간 유예되었다. 쌀의 소비 촉진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경제적인 생산 기반의 확보와 함께 고품질로 소비자를 만족시키는 등 쌀 산업의 경쟁력을 신속히 제고하지 않으면 수입쌀의 비율은 점차 증가하게 되고 농민과 농업 관련 산업의 쇠퇴는 불가피하게 될 것이다.
□ 쌀 품질의 한 평가수단인 밥맛은 일반적으로 외관, 향기(냄새), 맛, 딱딱함(경도), 끈기로 평가하며 이들 5항목을 종합 평가하여 점수를 매기는 방법도 있다. 쌀의 성분중 수분은 음식 맛 뿐만 아니라 저장성에 영향을 주며, 단백질은 귀중한 단백질 섭취원이지만 취반시 전분의 팽윤을 억제하여 밥의 끈기를 떨어뜨린다는 단점이 있다. 쌀의 전분 성분인 아밀로오스는 함량이 낮을 경우 쌀이 끈기가 높아서 밥맛이 좋다는 느낌을 준다.
□ 본문은 쌀의 단백질 함량을 종전에는 벤치형의 NIR(Near in Frared Ray) 분석계를 사용하였으나,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어 일본의 Shizuoka Seiki사와 일본 농림수산부 산하의 국립 식품연구소가 공동으로 근적외선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고속으로 쌀 성분을 분류하는 분석계를 개발하고, 그 내용을 소개한 것이다. 벼나 쌀(현미)의 수분, 외관, 단백질 함량 등을 정확하게 신속히 분석하는 것이 쌀의 경쟁력 향상에 크게 관계되기 때문이다.
□ 쌀의 품질을 단순히 선전이나 브랜드명 또는 생산 지역의 명성으로 평가하기 보다는 쌀의 주요 성상(性狀)과 품질을 정확하고 신속한 분석으로 계량화하면 소비자의 신뢰가 증가되고 생산자의 노력도 촉구하게 될 것이다.
- 저자
- M. NATSUG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5
- 권(호)
- 67(1)
- 잡지명
- 농업기계학회지(A17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0~14
- 분석자
- 이*옹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