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모션 데이터에 의한 작업 동작 시뮬레이션(Simulation of Task Movements Using 3D Motion Data)
- 전문가 제언
-
□ 작업 동작 분석이란 모든 작업에 대한 인간의 작업 동작을 과학적으로 미세하게 분석, 검토하여 불필요한 동작을 제거하고, 무리나 낭비가 배제된 작업 동작으로 만들어 최고의 능률을 실현할 수 있도록 작업 수행에 요구되는 합리적인 방법을 결정하는 분석수법이다. 이 작업 동작 분석수법 중에서 MOST는 단시간에 작업 측정을 할 수 있는 수법이며,
지는 MOST가 과거 10년 간에 있어서 가장 획기적인 작업 측정기법이라고 평하였다.
□ 이 MOST는 작업 측정수법에서 중요한 요건인 유연성과 일관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실무적인 작업 측정이 가능한 대상이 확대되면서 수행 관리의 적용 분야가 대폭적으로 확대되었다. 아울러 시나리오로 지정된 행동요소의 소요시간이 MOST로 산출된 견적시간과 일치하도록 타임 스케일(Time Scale) 변수 값이 자동 설정되므로 모션 데이터의 생성시간이 적절히 조정되어 시뮬레이션 시간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CG; Computer Graphics)로 표시되는 가상적인 인간, 즉 CG 가상인간의 동작 시뮬레이션을 작업 환경의 평가에 이용하는 시스템이 유럽이나 미국에서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특히 일본 Toyohashi 기술과학대학 정보공학계의 Kuriyama 등의 연구그룹에서는 XML에 의한 시나리오 기술과 X3D에 준거한 가상환경/인간에 의한 시뮬레이션과 미들웨어를 개발하였다. 이들의 가장 큰 특징은 작업 동작을 계측한 모션 데이터의 재이용 시스템을 구축한 점으로, 이 시스템에 의해 시나리오를 간략하게 기술함으로써 인간의 자연적인 작업 동작을 자동적으로 생성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 동작계측을 할 때 연기자의 골격 정보와 관절각 정보를 XML의 DTD (Document Type Definition)에 보관한다. 이 정보에는 각 관절에 대한 국소적인 좌표계에서의 회전각이 부여되며, Root 관절에 관해서만은 세계 좌표계에 대한 몸 전체의 위치와 방향 정보가 부여된다. 또한, Kuriyama 등의 연구그룹에서는 동작계측을 할 때 연기자의 연령과 체형을 고려한 모션 데이터로부터 고품질의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신뢰성이 높은 작업동작의 자동 생성기구를 개발하였다.
- 저자
- Shigeru KURIYA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39(12)
- 잡지명
- 설계공학(D12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653~659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