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탑재가 가능한 터닝센터의 기능과 활용
- 전문가 제언
-
□ 최근의 자동차산업계에서는 사용자의 요구가 다양화해지고 해외에서의 현지 생산이 증가함에 따라 각종 부품의 생산량이 감소되어 다품종화가 가능한 방법으로의 생산방식 변경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자동차 부품회사는 해외에 대한 설비 투자가 증가하면서 생산 기술에 대한 현저한 능력부족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기계메이커가 개발한 새로운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공물에 적합한 최적 설비를 선정하고 기술자 없이도 어디서든지 쉽게 설치 가능한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여 생산기술의 능력 부족을 해소하려고 하고 있다.
□ 수년 전부터 중간 수량의 생산에 필요한 라인의 구성은 월 2만대 정도의 생산에 대응 가능한 라인이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의 시장의 상황은 중, 소량 생산에 관한 가공 생산라인을 구성하여 월 5천대 정도의 생산량으로도 대응 가능한 라인이 요구되어 생산 기종의 변동에 대응 가능한 유연성이 있는 생산라인을 만들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 유연한 생산라인의 구성으로 사이클 타임에 여유가 발생하면서 공정의 집약이 가능하도록 공정의 통합이 검토되면서 선반 가공에 드릴과 엔드밀, 밀링 가공을 추가하여 가공할 수 있는 기계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복합 가공기로 터닝센터가 주목받고 있으며, 향후 수요가 급증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우리도 유연생산라인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Ogawa H.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5
- 권(호)
- 46(1)
- 잡지명
- Tool engineer(B23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84~89
- 분석자
- 진*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