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그네슘합금 다이 캐스트의 현황 및 과제(Latest Trends of Casting Technologies in Automobile Industries) Present Statuses and Subjects of Magnesium Alloy Die Casting
- 전문가 제언
-
□ 마그네슘은 융점이 648.8℃이므로 그 합금은 다이 캐스트로 가공하기에 적당한 금속이다. 더구나 hcp 결정격자를 갖는 마그네슘은 냉간가공이 가능한 철(bcc), 알루미늄(fcc)과는 달리 냉간가공이 불가능하므로 운명적으로 열간가공․다이 캐스트로 처리되어야 할 금속으로 태어났다고 말할 수 있다.
□ 마그네슘은 알루미늄과 같이 양극산화에 의한 간편한 표면처리도 불가능하여 내식성 향상이 어려우며, 산소와의 큰 친화력으로 인하여 용해작업도 쉽지 않은 등 결점이 많은 금속재료이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루미늄의 비중 2.7의 2/3에도 미달하는 비중 1.74 마그네슘의 합금은 비단면적 강도(比斷面積 强度)가 아닌 비중량 강도(比重量 强度)를 따지는 수송기관(비행기, 자동차, 우주선, 의료복지기기 등) 분야에서 알루미늄 합금을 대체 할 차세대 금속재료로 각광을 받고 있다.
□ 여객기와 같은 내구성을 요구하지 않는 단기용도(短期用途)의 전투기와 무인 정찰기, 1회용 유도탄에서는 그 실용성과 유용성으로 인하여 마그네슘 합금 재료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현재도 비구조용(非構造用) 재료로서 경주용 자동차, 항공기의 의자, 선반, 장비 케이스, 계기판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자동차 엔진 구성 부품으로 사용하기에 마그네슘합금은 아직도 알루미늄합금의 내열성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Kato와 Nakamura는 175℃ 까지 사용가능한 마그네슘합금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으나, 그 정도의 내열온도로서는 아직도 실용하기에는 미흡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마그네슘합금에서 해결되어야 할 중대한 과제이다.
□ Kato와 Nakamura는 이 논문에서 마그네슘의 부식 문제와, 용해 및 그에 따르는 방연가스의 지구온난화에 의한 환경파괴 문제를 심도 있게 논하고 있다. 이는 연구기관 및 산업체 관련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여 일독을 권하는 바이다.
- 저자
- Toru Kato ; Toru Nakamu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76(12)
- 잡지명
- 주조공학(C05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002~1008
- 분석자
- 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