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CS2를 원료로 한 새로운 고분자 제조

전문가 제언
□ C1 화학의 원료로 메탄과 메탄올을 이용한 산업은 활발히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1997년 Kyoto 협약이 체결된 이후 세계적으로 지구 온난화 문제와 관련하여 이산화탄소의 과다 배출이 점점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적 문제와 함께 새로운 C1 화학의 원료로 이산화탄소와 이황화탄소를 이용하는 방안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 이산화탄소와 이황화탄소는 값이 싸고 자연계에 많이 존재하고 있으나, 이것은 각각 산소와 유황을 함유하고 있는 헤테로 화합물이고, 전자 주게(donor)와 전자 받게(acceptor) 성분을 함께 가지고 있어서 그 반응성에 있어서 매우 독특하다.

□ 독성이 없는 이산화탄소와는 달리 이황화탄소는 지금까지 셀룰로오스 등 고분자의 용매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농약이나 의약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이산화탄소나 이황화탄소를 활용하여 고분자를 합성하는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이 경우 직접 공중합을 일으키거나 단량체를 제조하여 고분자를 합성하는 방법이 있다.

□ 이황화탄소를 활용한 고분자 합성에 대한 관심은 이황화탄소의 독성에도 불구하고 황을 함유한 고분자라는 것과 다방면으로 활용되는 RAFT 특수물질로의 활용적 측면이다. 고분자 구조에 유황성분이 있기 때문에 광학적 및 극성 특성이 독특하여 이를 활용하는 고분자 설계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디치오카보네이트와 치오우레탄을 이용한 고분자 합성이 주목받고 있다.
저자
Daisuke Nagai ; Bungo Ochiai ; Takeshi End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4(12)
잡지명
미래재료(J486)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4~29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