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T산업의 현상과 과제(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ormost Tasks of RT Industry)
- 전문가 제언
-
□ 일본에서 2004년3월에 발표된 「2025년의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는 사회를 향한『차세대 로봇 비전 간담회』보고서」는 2025년에 로봇 이용이 예상되는 대표적인 분야를「제조 · 생산」「생활」「의료 · 복지」「공공(公共)」으로 열거하고 있다. 차세대 로봇이 가정이나 사업소, 공공장소에 보급 될 경우 시장규모는 약 7.2조 엔으로 추정하고 있다.
□ 그러나 현재는「연구개발」수준으로 시장으로서의 매력은 없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여러 대기업이나 벤처기업 등이 기존사업의 우위성을 살리면서 참가하기도 하고 시행착오를 하면서 연구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하드로서의 로봇보다는 로봇을 활용하는 소프트 · 콘텐츠 비즈니스의 전개라고 생각된다.
□ 앞으로 로봇은 많은 분야에서 그 이용도는 점점 늘어가고 특히 단순 반복 움직임에서 사람을 대신하는 지능화 쪽으로 가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구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어 산업화가 늦어지고 있다. 이 분야는 앞으로 스타 비즈니스가 될 것이 틀림없다고 본다. 그러나 지금은 수지 타산이 맞지 않는 부문이므로 한국도 정부가 주도되어 대기업의 연구소, 국가 정책 연구원이 비영리적으로 수지를 감안하지 않고 투자와 연구가 이뤄져야 앞으로 세계 선진 대열에 어깨를 겨룰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저자
- Ken-ichi Minoj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5
- 권(호)
- 25(1)
- 잡지명
- 기능재료(D32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9~45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