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라믹기 나노복합체의 미래
- 전문가 제언
-
□ 그간 기능성 세라믹과 구조성 세라믹이 실용화 되어 많이 쓰이고 있었다. 그러나 그 후 오랜 기간에 걸쳐 기능이 개선되거나 새로운 기능을 갖는 재료가 나오지를 않고 있어 연구 개발활동도 침체해질 수밖에 없었다.
□ 현재까지의 연구 개발의 개념으로는 넘지 못하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발상의 전환이 필요할 수밖에 없다. 세라믹의 특성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 나노와 나노복합체의 개념을 도입해서 재료를 설계하는 보다 연구된 개념의 도입이 필요할 수밖에 없다.
□ 물성을 개선하거나 신규특성을 부여하는 재료설계지침의 하나로 나노복합의 개념의 도입이 필요하다. 세라믹의 최소단위가 되는 결정입자 내부의 나노구조제어를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나노복합체를 만드는 합성프로세스의 개발이 필수과제가 되며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 세라믹 분야는 재료의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다. 재료가 갖고 있는 이방성을 최대한 살리는 재료설계지침의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서세라믹 발전의 부진도 탈피할 수 있고 무한한 재료의 개발 및 응용의 가능성을 나노복합체를 통하여 현실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Tadachika Nakayama ; Yo Yamamoto ; Koichi Niiha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4(12)
- 잡지명
- 미래재료(J48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42~47
- 분석자
- 김*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