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마이크로파 플라즈마를 이용한 Biomass로부터 수소생성기술(Hydrogen Production from Wet Biomass (Lignin) using Microwave Plasma Technique)

전문가 제언
□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될 가능성이 가장 높아, 앞으로 30년쯤 후에는 소위 수소 경제시대가 성큼 다가올 것으로 확실시되는 수소자원은 이 지구상에서 가장 흔하게 존재하는 원소로써 물을 비롯한 여러 형태의 수소화합물로 존재하기 때문에 문제는 이들로부터 얼마나 값싸게 수소가스를 얻느냐가 핵심적인 기술이자 과제이고, 다음은 만든 수소가스를 저장하고 수송하는데 따르는 고밀도저장기술과 안전상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 수소를 얻을 수 있는 수소화합물은 자연에 존재하는 수많은 식물체 즉 biomass에도 여러 화합물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선진국에서는 심심찮게 이러한 무진장으로 존재하는 biomass로부터의 수소가스를 얻는 기술에 일찍부터 착안하여 여러 방법으로 값싼 수소를 얻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소규모의 biomass로부터의 수소제조공정이 pilot plant규모로 만들어져 제조기술개발에 관련된 실험이 행해지고 있음을 우리는 주목해야 한다.

□ 특히 임산물은 biomass중에서도 쉽게 대량으로 원료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임산물을 이용한 수소화기술은 상당히 활발하며 이 글에서 정리한 목재 중에 존재하는 리그닌이나 셀루로스를 마이크로파 플라즈마법을 이용한 수소 발생실험은 상당히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이 기술은 식물체의 건조분만이 아닌 수분이 함유된 상태에서의 가스화 전화율에 대한 가능성을 실험한 것으로 비용과와 높은 전화율 및 최적함수율 등의 문제가 밝혀지면 biomass를 이용한 상업적인 수소화에 상당한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 이 글은 목재의 성분인 리그닌의 마이크로파 플라즈마법을 이용한 수소생성 실험결과를 정리한 것으로 소량의 시료를 이용한 기초실험결과이므로 앞으로 가스화 메카니즘이나 최적함수율 및 제조비용등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 수소가스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으로 우리의 연구자들도 참고하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Katsuya Konno ; Hiromitsu Okamura ; Motoki Kobayashi ; Kaoru Onoe (etc.)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5
권(호)
25(1)
잡지명
기능재료(D323)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56~61
분석자
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