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산성 위-십이지장궤양의 실험동물모델(Acetic Acid-Induced Gastro-duodenal Ulcers in Experimental Animals : Examples of Serendipity and Pseudoserendipity)
- 전문가 제언
-
□ 새로운 의약품 및 소화기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는 모든 약물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정청의 동물모델에 따른 약리시험 가이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험동물의 종류는 마우스, 랫드, 기니아 피그로 지정되며, 실험검토의 내용은 소화액의 분비와 소화성 조직의 점막 손상도, 소화관의 운동성, 그리고 Shay 결찰 동물모델을 이용한 궤양발생의 위험도 등을 대상으로 한다. 그밖에 Helicobacter pylori 의 억제능과 관련된 여러 유형의 실험과 궤양발생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의 검색 등도 검토대상으로 평가되고 있다.
□ 일본 다나베제약(주)에서 개발된 에카베트는, 위점막 방어계의 항염·항 궤양제로서 실험동물에게 유도한 각종의 궤양발생에 치유효과가 있음이 인정되었다.항궤양 효과에는 위점막의 혈류 개선작용, 위점액 증가작용, 위점막 PGE2의 항진, 위점막의 피복작용, 그리고 위액 펩신활성의 억제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임상 약리시험의 경우, 방어인자 증강작용과 항펩신작용 등도 확인하였다.
□ 급 · 만성 초산성 궤양에 대한 기초적인 실험모델은 궤양발생의 연구에 가장 빈번히 이용했던 모델이지만, 소화성 궤양의 발생 양상은 매우 다양한 것으로 조사된다.과다한 염산의 분비를 야기하는 스트레스와 함께 H. pylori 균이 유력한 인자로 검토되어 왔다.향후에는 유전자변이 실험 등을 통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검색방법을 활용하여 급. 만성 궤양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한다.
- 저자
- Susumu OKAB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5
- 권(호)
- 125(1)
- 잡지명
- 약학잡지(A15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7~29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