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금속복합체를 이용한 유기합성(Development of New Synthetic Method Using Organometallic Complexes and an Application toward Natural Product Synthesis)
- 전문가 제언
-
□ 지르코늄, 팔라듐 및 리튬 등을 비롯하여 대부분의 전이원소는 유기금속화학에 이용되고 있거나 연구대상이 되어 자연에서 추출 분리되고 있는 각종 알칼로이드의 생리활성물질 합성에 활용되고 있다.
□ 지르코늄복합체를 이용한 환상반응에서 엔인을 이용한 다환 화합물이 합성되었고, 특히 3환(6+5+5원)의 cis-, trans-형은 세계에서 최초로 합성하는 성과를 보여 천연에서 검출되는 (-)-dendrobine, (±)-mesembrine 및 spiro환의 합성법은 천연물 합성에 크게 공헌할 것으로 보인다.
□ 엔인 치환법에서는 크롬카벤복합체를 개발하여 피롤리딘-케톤화합물이 합성되었고, 루테늄복합체로 (-)-stemoamide의 전 공정합성에 성공하였으며, 제2세대 루테늄카벤 복합체를 이용하여 anoliganan A와 B를 합성함과 동시에 환상알켄의 측쇄길이에 따라 6~8원환을 합성하는 기본 골격을 완성함으로써 우리나라 제약산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 팔라듐복합체로 부제탄소를 이용한 천연물 합성에서 (-)-mesembrine, (-)-haematidine 등 5환의 알칼로이드를 합성하였고, 규소복합체와 연계하여 (-)-tubifoline 및 (±)의 스트리크닌을 각각 분리 합성함으로써 알칼로이드가 가지는 L-, D-형의 상반된 약리효과에 대비할 수 있는 디딤돌이 되었다.
□ 주석복합체를 유기합성에 이용하여 3환(6+6+6원)의 파라다사이클을 이용하여 환의 개폐로 세팔로탁신과 ambruticin 등 광학활성물질이 합성되었고, 소 분자 활성화 방안으로 대기 중 질소를 이용하여 hetero환을 합성하고, 질소고정을 이용한 monmoline I합성을 완료하였다.
□ 국내 일부 대학과 연구소에서도 S-, R-형의 생리활성물질을 필요에 따라 생산 및 합성할 수 있는 기반구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새로운 신약개발의 활성화가 시급한 시점에서 매우 고무적인 사안으로 여겨지며 지속적인 국가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
- 저자
- Miwako MOR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5
- 권(호)
- 125(1)
- 잡지명
- 약학잡지(A15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1~72
- 분석자
- 한*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