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네트워크의 기술적인 방향에 관하여(About a Trend of Home Network Technology)
- 전문가 제언
-
□ 가전제품들이 디지털화 됨에 따라서 무선의 시대로 발전하고 있다. 가전제품이나 설비기기도 아닌 또 다른 기기가 주택 현장에 도입되고 있다. 이들 기기는 제어 배선과 퍼스컴(personal computer)에 의한 통신기기들이다.
□ 영상과 음악의 방송망도 본격화되고 있어서 기술기반이 아날로그(analogue)에서 디지털(digital)로 변화하고 있다. 주택에는 위성방송의 안테나와 정보화 시설이 들어가고 종래의 전기와 설비시설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언뜻 보기에 가전기기처럼 보이지만 퍼스컴에 의한 네트워크가 필요한 시설들이다.
□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을 이용하여 가정 내에서 항상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게 됨에 따라서 가정 안에서의 네트워크화가 실현되었다. 홈페이지(home page)와 전자 메일은 전 세계적으로 가정의 문화를 향상시켰고 생활의 편리성과 신속화로 발전시켰다.
□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편리성 보다는 안전성(security)과 생활비 절감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집에서 이상이 발생하면 통지하는 시설과 한 개의 스위치로 외출준비를 끝내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조시되었다. 건강을 집에서 진단받을 수 있고 생활을 안락하고 편리하게 만드는 시설이 발전되고 있다.
□ 가정의 자동화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복잡한 명령계통을 일원화하여 총괄하는 체계의 설정이다. 휴대전화에서 시작하여 인터넷 프로바이더(internet provider), 통신기기, 설비기기가 순차적으로 접속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 주택의 가전기기 메이커와 설비를 만드는 건설업체 및 인터넷을 담당하는 통신업체가 협력하여 통일체계를 만들고 주택 전체와 사회 전체의 시스템화가 필요하다. 업체들로서는 네트워크의 조성과 부가가치를 높이는 체계로 발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Hiroyuki Yoshid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5
- 권(호)
- 79(1)
- 잡지명
- 공기조화위생공학(L10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7~42
- 분석자
- 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