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정수 막 여과에서 막 모듈의 표준화 현상과 과제(Present Status and subject of the Standardization of the Membrane Module in Membrane Filtration)

전문가 제언
□ 수돗물 정수과정에서 필요한 고액분리를 위하여 현재까지 개발된 방법은 완속여과, 급속여과 및 막 여과를 들 수 있다. 완속여과는 19세기 초에 영국에서 개발되었고, 급속여과는 19세기 말에 미국에서 실용화되기 시작하였으며, 막 여과는 20세기 말에 일본에서 실용화를 위한 실험이 시작되었다. 막 여과는 염소제에 내성이 있는 cryptosporodium이라는 원생동물 제거를 포함하여 유지관리의 용이성과 확실성 면에서 타 고액분리법보다 우수하고 소요부지면적도 대폭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 일본에서는 1991년 MAC 21이라는 이름으로 산 · 관 · 학의 협조에 의해 막을 이용한 신 정수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여, 그 후 (재)수도기술연구센터로 인계되고 고도처리 MAC 21, ACT 21, e-Water 프로젝트와 같은 연구 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왔다. 수도기술연구센터가 막 여과시설에 대한 인정작업으로 사업체의 시설이 원수조건에 적합한가 여부와 메이커가 연구개발한 막 여과 장치의 성능이 실험결과를 공정하게 반영하였는가를 판단하는 2가지 종류가 있다. 현재 메이커가 개발한 장치에 대한 인정은 지속적으로 신청되고 있고, 2004년도에 약 60건의 장치가 인정을 받고 있다.

□ 막 여과는 소규모 정수시설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중 대규모 시설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첫째 중대규모 시설에 대한 유지관리 노하우를 단시일 내로 정립하고, 둘째 고 플럭스화에 의한 모듈 수 절감, 염가의 모듈개발, 또는 막 수명 연장에 의한 비용절감이 있고, 셋째 막 모듈의 표준화에 의한 경쟁 입찰 유도 등 3가지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 현재 일본에서 막 여과법과 급속여과법의 건설비를 비교하면 20만~30만 ㎥/일이 분기점으로 작용하여 그 이하에서는 막 여과법이 경쟁력이 있다고 한다. 수돗물에 대한 일반국민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유지관리에 신뢰성이 높은 막 여과법의 개발을 위해 산 · 관 · 학이 협동하여 새로운 기구를 만들고, 조속히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보아진다. 그러나 일본의 사례를 충분히 감안하여 장치의 표준화와 시설의 대형화를 염두에 두고 프로젝트를 추진하여야 하겠다.
저자
Takeo MONIW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5
권(호)
47(1)
잡지명
Journal of water and waste(A046)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7~41
분석자
이*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