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염 결정의 색(The Color of the Salt Crystal)
- 전문가 제언
-
□ 화학 구조에 기초한 발색은 빛의 접촉에 의한 전자 천이로 발색하며, 물리 구조에 기초한 발색은 막의 두께와 그 굴절률에 의해 색조가 제어되는 것으로 생물 표피의 구조성 발색 등에서 볼 수 있다.
□ 다양한 광물의 착색 원인으로는 천이원소에 의한 착색, 색 중심에 의한 착색, 전하의 이동에 의한 착색 및 빛의 간섭에 의한 착색이 있다. 무색투명한 광물질 결정에 방사선을 조사하면 격자 결함이 생겨 빛의 흡수기구가 생성되며, 이 발색 원인이 되는 격자 결함을 색 중심이라 한다. 이온결정에서는 X선과 같은 전자파를 조사하여 음이온이 빠진 격자 결함에 전자가 1개 보충된 F 중심을 만들면 가시광선이 흡수되어 착색된다. 보석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일부러 방사선으로 발색시키는 경우도 있다.
□ 한편 자연계에는 색소가 아닌 빛의 간섭에 의해 선명한 색채를 나타내는 생물이 많이 존재한다. 이러한 구조성의 발색 시스템을 인공적으로 구축하는 것은 신규 디스플레이나 각종 센서 시스템 등의 응용에 매우 유용한 것이 될 수 있다.
□ 이에 Nagaya 공업대학 연구진은 LB법(Langmuir-Blodgett technique)을 이용해 α-헬릭스 구조의 폴리펩티드(polypeptide)를 기판상에 다층 누적함으로써 빛의 간섭에 의한 구조성 발색 기판을 조제해, 이 구조성 발색 기판에 대해 용매 흡착에 따라 기판의 색이 변화하는 상황 및 항원 항체 반응을 검지해 색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새로운 계측 시스템(센서 등)으로의 응용 가능성도 찾았다.
- 저자
- Eisaku MIYO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4
- 권(호)
- 58(6)
- 잡지명
- 일본해수학회지(C10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555~562
- 분석자
- 조*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