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일본 Fukuoka시(福岡市)의 정수장 재편과 막(膜) 여과 도입(Reorganization of a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Introduction of Membrane Filtration in Fukuoka-city)

전문가 제언
□ Fukuoka 시민을 대상으로 수돗물에 관한 앙케트 결과에 따르면 안전성에 대하여는 불안하다고 대답한 시민이 40%를 초과하고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는데 대하여는 반대한다는 의견이 80%에 달했다고 한다. Fukuoka시에서는 시민들이 안심하고 맛있게 마실 수 있는 수돗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막 여과 기술을 도입하기로 하였으며 노후화된 정수장은 폐쇄하고 기존의 정수장을 보강하는 정수장 재편사업을 하고 있다.

□ Fukuoka시는 2003년도에 급수인구 133만6천명에 공칭정수시설능력이 748,100 m3/d까지 되었지만 수원이 부족하고 여러 차례의 큰 갈수기를 경험하였다. 이에 따라서 Fukuoka시에서는 절수와 수도관리에 노력하여 왔으며 그 결과로 2002년에는 급수량이 292 L/인·d로 일본의 대도시중에서는 제일 적은 급수량이 되었다.

□ Fukuoka시의 막 여과 도입실적은 해수 담수화 시설로서 두 차례의 RO막을 도입하여 50 m3/d의 시설이 가동되고 있으며 2005년에는 50,000 m3/d를 목표로 건설 중이다. 그러나 육지의 물을 수원으로 한 막 여과 도입은 없었다. 막 여과 방식은 비용이 많이 들지만 자동운전이 가능하고 건설공기가 단축되며 점용부지 면적이 작은 이점도 있다. 막 여과는 코스트(cost)와 모듈(module)의 표준화 등이 과제로 남아있다. 2004년 5월에는 (재)수도기술연구센터에서 표준화를 검토하고 있으며 코스트 문제는 막 모듈의 도입실적을 늘리면 저렴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우리나라도 일본의 Fukuoka시에 못지않은 수돗물에 대한 관심이 클 것으로 생각되며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추어 막 여과 방식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Fukuoka시의 앙케트 결과에 따르면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는 시민이 17.7%에 불과하다고 하니 우리나라에서도 Fukuoka시를 참고로 산업체와 학계 및 연구기관의 협력체재를 구축하여 코스트 문제와 막 모듈의 규격화에 대한 연구와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Takashi YAMAMO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5
권(호)
47(1)
잡지명
Journal of water and waste(A046)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2~67
분석자
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