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상수도용 막 모듈의 일본 규격과 제도(The Certification System of Membrane Module for Drinking Water Service)

전문가 제언
□ 일본에서는 1991년부터 3년간 산업계와 학계 및 관계의 협력 체제를 바탕으로 한 “막 이용형 신 정수 시스템 개발 연구”에 의해 상수도(上水道)에 막(膜) 여과 시스템이 도입되게 되었다. 1995년에 상수도용 막 모듈 규격(WPPA-001)이 제정되었다. 그 뒤 세 종류의 상수도용 막 모듈 규격이 이어서 제정되었다. 2004년에는 WHO의 음료수 수질 가이드라인에 따라서 새로운 규격(AMST-004)도 추가되었다.

□ 상수도용 막 모듈의 규격을 제정하게 되어 탁도 성분, 염소 내성 병원미생물, 트리할로메탄 선행물질, 이상한 냄새와 맛을 내는 성분, 미량 유기화합 물질 등의 제거 및 해수 담수화 등 상수도 시설에 대한 여러 가지의 막 모듈의 규격도 제정되었다.

□ (재)수도기술연구센터와 막분리기술진흥협회에서는 상수도용에 적합한 막 모듈 규격에 기초를 두고 성능 조사를 한 후에, 이 규격에 만족하면 규격 인증서 및 합격 라벨을 발행하고 있다. 2004년 3월말 시점에서 AMST(The Association of Membrane Separation Technology) 규격에 합격한 막 모듈은 합계 70건이 된다. 일본에서는 구미와 같이 대규모 수도시설에도 막 여과 시스템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선진형 막 여과 도입을 해야 시민들이 안심하고 수돗물을 마실 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앞서 막 모듈의 규격화와 우리나라의 상수질에 대한 실험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산업체와 학계 및 연구기관의 협력체제의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도 2005년부터 정수막 개발 연구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므로, 시행착오가 생기지 않도록 다른 나라의 좋은 내용들을 참고하고 이용하여야 할 것이다.
저자
Hiromu TAKEUC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5
권(호)
47(1)
잡지명
Journal of water and waste(A046)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8~72
분석자
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