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미래주택과 건축설비 :Sustainable Future Housing And Its Equipment System
- 전문가 제언
-
□ 산업발전에 따른 극심한 환경오염으로 지속가능한 사회 구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정부에서도 2000년에 지속가능발전위원회를 두어 에너지, 환경, 주택건설 등을 위한 구체적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 건축에서 오피스 빌딩 등은 인텔리전트 빌딩으로 거듭나고 있어 각종 에너지절약형 설비와 함께 인터넷 보급망이 확대되어 있으나, 단독주택이나 집합주택에는 아직 주택과 설비 면에서 미흡한 상황이다.
□ 본문에서 일본은 건물의 장수명화와 에너지절약을 기하는 것이 지속가능한 주택건설을 위한 설계개념으로 보고, 물리성, 에너지 성, 기능성, 기호성의 4층 구조 측면에서 주택설비도 접근해야 함을 제언하고 있다.
□ 근래 주택에서 차지하는 설비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짐으로서, 라이프사이클 코스트 개념을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며, 설계 시 실험적 신기술이 아닌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해야 할 것이다.
□ 즉, 에너지소비 측면과 유지보수 측면을 고려하고, 설비자재는 성능, 기능, 수명이 객관적으로 입증된 것으로 사용해야 할 것이며, 이런 점에서 에너지절약형 온돌난방시스템 등이 개발되고 있어 주택설비의 전망은 밝다고 본다.
□ 주택의 장수명화측면에서는 개수 시 설비기기 교체 요구가 가장 많은바, 지붕 외벽의 누수와 함께 위생기구의 기능저하, 주방기구의 빌트인 제품 도입 등 많은 니즈가 잠재되어 있다.
□ 최근의 친환경 자재를 사용하는 웰빙 주택, 고령자 배려 등 주택설비는 보다 새로운 시대환경에 적응이 요구되므로, 본문의 4층 구조 접근론은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새로운 시대적 추세로 보고 싶다.
- 저자
- Kazuhiko Namb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5
- 권(호)
- 79(1)
- 잡지명
- 공기조화위생공학(L10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7~11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