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쟁은 하더라도 원자력의 중요성을 전달하자-작은 차이에 구애받지 말고 대동단결을
- 전문가 제언
-
□ Financial Times는 중국과 인도 등 개도국의 수요 폭증과 이에 따른 수급 불균형으로 전 세계가 항구적 원유파동'단계이며, 원유가는 2030년 배럴당 100달러에 근접할 수 있다고 2005년 4월 8일 보도했다. 이에 우리는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전략적 에너지 외교와 환경친화적 신재생가능 에너지 전략의 가속화가 필요하다.
□ 원자력 발전은 연료공급이 안정하며, 환경친화적이며 경제적인 에너지이며 특히 한국은 표준형 원전의 반복 건설로 기술자립 능력을 거의 확보한 상태이다. IAEA는 원자력 에너지를 미래 에너지의 요건인 환경친화, 경제성, 수급 안정성을 갖춘 지속가능한 에너지로 분류하고 있다.
□ 원전의 안전 문제는 정상운전중이나 사고시 방사선 누출의 방지가 최우선이며, 원전의 안전 보장은 안전설계, 안전설비 및 안전운영으로 이루어진다. 1000MW급 원전 1기 건설에 보통 1조 5천억원 정도의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며, 그 중 약 30%는 안전설비 건설에 소요된다.
□ 한국 원자력안전기술원은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PDA)로 이동 전화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국내 원전의 안전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e-검사 지원 시스템(NSIS)'을 개발해 2005년 4월 시범 운영에 들어갔다. 과학기술부는 2005년 4월 5일 원자력 발전소의 방사능 누출 등 재난에 대비한 ‘원자력 방재센터’를 월성에 처음 건립했으며, 2006년 울진과 영광, 2007년 고리원전 지역 등에도 건설할 계획이다. 과기부는 국내 원전에서 유사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종합적인 자체 점검 계획을 수립하고, 2002년부터 운영중인 '배관 감육 관리 프로그램'을 재점검토록 행정 조치했다고 설명했다. 또 앞으로 감육이 발생한 배관의 교체시, 스테인리스강 또는 감육에 강한 탄소강 배관으로 검토 교체토록 권고했다고 덧붙였다.
□ 향후 원자력발전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국민의 원자력에 대한 객관적 지식 부족, 관련 공무원의 행정편의주의적 행태, 정부 행정에 대한 불신 및 시민 환경단체의 극단성 등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Mizumachi W.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5
- 권(호)
- 38(2)
- 잡지명
- 에너지(M15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76~80
- 분석자
- 조*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