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물 건전 상태 모니터링(Novel Development of Intelligent Materials)
- 전문가 제언
-
□ 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법으로 구조물 내부에 심어놓은 센서의 동적응답을 이용하여 손상을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저주파 진동 특성을 이용한 방법은 큰 손상이 아닌 손상에 대해서는 측정이 어려우며, 고주파 진동의 파동 특성을 이용한 방법은 해석 모델을 기본으로 하여 정량적 손상 정도를 알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교량 시스템은 상판에 진동 센서, 장력계, 가속도 진동 센서를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상태를 판단하고, 주기적으로 마이크로웨이브 비파괴 측정장치를 차량에 부착하여 센서와 비교하거나 수식 모델을 이용하여 철근과 콘크리트의 박리 현상이나 부분적 손상 위치와 크기가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교각의 침하, 변형, 뒤틀림 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압전소자, 스트레인게이지(strain gauge), 위치 측정 센서 등을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수집한 정보와 설계기준, 환경조건, 안전계수, 보정계수 등을 고려한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안전도를 판정하는 기술 개발을 산 · 학 · 연 협동으로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 최근에 자주 발생하는 지진에 대한 대책과 과거 부실 공사가 되었거나 장기간 사용한 주요 국가 시설물, 구조물에 대해서는 구조 건전성 진단을 하거나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국가기관이 주관하고 산 · 학 · 연이 참여하여 개발 보급할 수 있도록 건의하며, 신축하는 모든 구조물에 대해서는 구조물 건전성 감시 시스템이 도입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Hisao FUKUNAG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12(3)
- 잡지명
- 일본AEM학회지(J71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57~162
- 분석자
- 조*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