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유체의 현상과 미래(Present Status and Future)
- 전문가 제언
-
□ 지능 로봇의 등장은 시대적 흐름으로 보아 필연적인 것이다. 지능 로봇은 산업용 로봇과 달리 하드웨어적인 구동 기술보다는 인공지능, 휴먼 인터페이스, 유비쿼터스 네트워크(Ubiquitous network), 소프트웨어 등 정보 기술(IT; Information Technology)이 집적된 퓨전 시스템(Fusion System)이다. 아울러 인간과 서로 상호작용을 하면서 2족 보행 로봇, 애완용 로봇, 청소용 로봇, 구조용 로봇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간 지향적 로봇이다.
□ 기능성 유체란 어떠한 기능성을 가지는 유체로 외부 환경에 대응하여 유체의 특성이 변화하는 유체라고 말할 수 있다. 여기서는 최근에 이르기까지 기능성 유체로 취급되어온 자성 유체, 자기점성 유체, 전기점성 유체, 그리고 액정을 열거하고, 이들의 기본적인 특성과 응용방법, 아울러 앞으로의 전개 방향에 대해 언급하였다.
□ 첫째, 자성 유체는 자석에 이끌리는 유체로 이 유체의 점성 특성은 일반적으로 뉴톤 점도로 나타나는데, 자성 유체는 직선관계를 유지한다고 단정할 수 없으므로 비뉴톤 유체이다. 자성 유체 응용 목적의 기본은 유체의 움직임을 외부 자장에 의해 구속하는 것이며, 앞으로는 금속계 자성 유체 개발이 활발하게 전개될 것이다.
□ 둘째, 자기점성 유체는 외부 자장의 강도를 높일 때 유체의 강복응력은 변하지만 뉴톤 점도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 자기점성 유체는 마찰감쇠를 변화시키는 응용 분야의 개척을 지향하고 있다. 셋째, 전기점성 유체는 외부 전장에 의해 유체의 점도가 변화하는 유체의 총칭이며, 외부 전장에 의해 유체의 강복응력이 가역적으로 변화한다.
□ 넷째, 액정은 액체이면서도 결정 구조를 가지는 특징이 있으며, 일종의 구조성 유체라고 말할 수 있다. 액정의 물성을 광학적으로 이용하려면 액정분자의 배향(配向)에 관한 외부 전장에 대한 응답성, 열의존성, 빛의 굴절률, 투과율 등이 중요한 물성이 된다. 그리고 액정을 작동 유체로서 이용할 경우에는 유체의 탄성 특성과 점성 특성이 중요하다.
- 저자
- Shin MORISHIT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12(3)
- 잡지명
- 일본AEM학회지(J71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85~190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