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음장 측정 과제와 장래 전망(A note on the measurements of physical measures for room acoustics evaluation)
- 전문가 제언
-
□ ISO3382는 실내음장의 측정을 규정하는 기술기준서이다. 동 기술기준의 부속서에는 임펄스 응답으로부터 구하여지는 각종 물리지표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또한, 동 규격서는 표준적인 측정법을 규정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많이 듣는 지점에서 주파수 분석을 한 후에 수많은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하고 해석할 것인가, 또 평가를 위하여 이용하기 까지는 자세히 기술되어 있지 않아 이로 인하여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다루고 있다.
□ ISO3382에서는 측정 시 객석의 상항(청중의 유무), 스테이지상의 조건을 기록할 것을 명기하고 있다. 잔향 시간(RT)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지표로는 초기 감쇄 시간(EDT), 초기 후기 에너지비(C80), 상대 레벨(G) 이러한 것들이 기재되어 있는데 이들에 대한 문제점들을 세세히 열거하여 논하였다. 예술성을 살리기 위해 홀을 설계하는 데는 반드시 이용되어야 할 일종의 설계규정으로 홀이 완성된 후에는 이 규정에 의하여 평가하면 홀의 특성을 알 수 있을 것이다.
□ ISO3382에 의한 측정법을 표준화하기 위한 다음 단계로 측정된 지표값을 사용한 실제의 음장을 평가하고 진단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처리나 해석의 중요성과 문제점이 자세히 논의되었다고 본다. 예로부터 사용되어온 지표로 정의하는 것은 이해되어도 그의 음장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부족하다고 보아 왔다. 규정을 정하기 위하여 이렇게 실제에 가깝게 또 사용할 수 있도록 논의하는 것을 우리도 받아들이고 함께 연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저자
- Toshiki Hanyu ; Kimihiro Sakagami ; Shinichi Sakamot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5
- 권(호)
- 61(1)
- 잡지명
- 일본음향학회지(L14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50~55
- 분석자
- 양*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