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랭크축과 가상공장 기술(Virtual Factory Technology for Crankshaft)
- 전문가 제언
-
□ 단조 크랭크축의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품질, 원가 및 납기 이외에도 단조 결함의 감소, 금형의 수명 향상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부품 단조공장과 기계공장 간의 불균형 문제는 새로운 부품의 초기 형상 불균형 문제에 대해 대책을 세우는 데 시간이 소요되어 신 부품 개발 기간이 단축되지 않는 점과 검사규격 형상이 적합한 부품일지라도 기계 가공 최종 공정 균형계측에서 불량으로 되는 비율이 높아서 손 수정에 의한 공수 손실이 큰 것이 문제점으로 되고 있는 점은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개선할 필요가 있다.
□ 단조의 재료 유동 시뮬레이션 자체는 금형을 강체로 한 강소성 해석으로 가능하지만, 현 단조 시뮬레이션에서 최종적인 금형 형상으로 하기 이전에 변형 도중에서의 재료 유동과 비교하면서 협력관계를 취하고, 여러 가지 해석치를 변경시켜 실험 시작품과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여 마찰계수를 제어하게 되면 변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조 해석을 사용하게 되면 시험 제작 전에 품질의 적합성을 확인할 수 있고, 필요한 재료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어서 시작품 제작 회수를 대폭 삭감할 수 있다.
□ 공정 엔지니어링 부분에서 소성 변형, 탄성 변형 및 온도 해석 등 여러 가지 공정에 필요한 해석을 넣어서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조절하게 되면, 목적하는 특성을 예측할 수 있으며 긴 공정을 거친 후의 균형량 예측이나 금형 수명의 향상, 그리고 앞으로 부품 생산에서 생기는 문제점도 사전에 해석할 수 있다. 리버스 엔지니어링 부분에서는 긴 공정 도중에서 제품을 계측할 수 있어서 최종 공정의 특성을 예측할 수 있으며 현재의 부분 가공 기술은 시뮬레이션 부분과 현실 데이터를 리버스 엔지니어링에 의해 부분 가공 측에 공존시키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다. 리버스 엔지니어링에 있어서 시물레이션 기법을 많이 활용 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Shinichiro FUJIKAWA ; Koji MIYO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5(527)
- 잡지명
- 소성과 가공(C21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008~1012
- 분석자
- 홍*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