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컬러 IH 정착방식의 개발(The Development of Color IH Fusing Technology for Laser Printers)

전문가 제언
□ 컬러 레이저프린터 정착기의 무오일 토너 등장으로 정착재료의 저 열용량화에 의해서 큰 변화를 받게 되었다. 컬러 IH 정착기는 단색 수요 정착기를 모체로 해서 전자유도 가열에 의한 고효율의 제품이다. 주요 기술로는 여자코아 · 코일과 정착 슬리브 및 고주파 전원이 있다. 이러한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고 제품화해서 종래의 기술에 비해서 대폭적인 전력 에너지를 절약한 연구 사례이다.

□ 정착기는 별도로 전기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하여 정착온도를 낮춰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토너의 저 융점화와 보다 넓은 폭의 정압기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프린터의 경우, 정착기의 전기 에너지가 인가한 결과 유닛의 소비전력이 상대적으로 증가되었다. 슬립 시 엔진 통제 부분의 꺼짐과 네트워크의 대응 부분은 켜짐으로 조정하는 등의 에너지 절약이 중요하다.

□ A3기와 비교하면 종래의 롤러 정착기를 이용한 제품에 비해서 약 70%의 전력 감소를 가져왔다. 이것은 설치대수를 100만대로 했을 때 연간 384x10^9(Wh)의 전력이 절약된다. 이것은 댐 11대가 발전하는 에너지에 해당한다. 향후 예측되는 컬러 레이저프린터에 에너지 절약 정착기의 부착이 요구된다.

□ WUT에 대해서도 특히 컬러 레이저프린터는 전원 켜짐시와 슬립 복귀 시는 조정 개시기의 컬러 화상 공정 시간 쪽이 WUT보다도 시간이 더 걸린다. 컬러 IH 정착기를 부착한 프린터의 각 모드는 소비자의 사용편의성을 위주로 정착기에 WUT를 부착해서 다른 유닛의 동작하는 시간과 종합적인 개발이 국내 산학을 통해서 이루어지도록 각 계의 노력이 필요하다.
저자
Koichi TANIGAWA ; Akihiko TAKEUCHI ; Hiroshi MANO (etc.)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43(6)
잡지명
The journal of imaging society of Japan(C222)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66~471
분석자
한*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