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크젯 기술의 최근 동향(Inkjet Technologies 2004)
- 전문가 제언
-
□ 잉크젯 기술은 1990년대 후반부터 본궤도에 올랐다. 잉크젯 프린터는 용도에 따라, 즉 소비자(가정용), 사무용 및 산업용에 따라 그 필요성이 다르다. 디지털 사진용으로는 고화질과 영구보존성이, 사무용으로는 고속성이 그리고 비즈니스용으로는 속도와 비용이 우선시 된다. 이러한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고자 잉크젯 프린트 기술은 제조회사 간에 경쟁은 물론, 레이저 프린터 및 재래 기술과도 경쟁하면서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구조를 생각해 볼 때 내용에서처럼 시장을 소비자용, 사무용 및 산업용 시장으로 나누어 선두그룹에 있는 회사들의 최근 기술개발 동향을 소개한 것은 의미가 크다.
□ 내용에서 소개된 회사의 선택 기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나, 아마 일본 내에서 시장 지분율이 높은 회사를 선택했을 것이다. 전 세계 프린터 시장에서의 순위나 기술개발 동향을 조사 및 발표하는 인터넷 사이트는 ‘Inject-Printer-Review.com’와 ‘Wide-Format-Printers.net’이 있으므로 참조하면 좋을 것이다.
□ 포토 프린트의 경우 잉크 기술의 발전에 의해 내후성은 향상되었으나, 이를 정량화하는 것이 과제가 되었다. 종래의 은염 사진과 비교해서 어느 정도 수준인지 합리적인 척도로 비교할 필요가 있다. 물론 평가방법의 표준화를 목표로 해서 현재 업계에서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 잉크젯 프린터 공급사마다 고화질 및 고성능을 홍보하고 있지만, 고객이 비교할 수 있어야 하고, 비교 후 선택할 수 있도록 보편화된 기준을 표준화해야 한다. 특히 어느 회사는 포토 프린트의 경우 내오존성 년수와 내광성 년수를 표시하고 있어서 관심을 끈다.
□ 한국화상학회에서는 정기적으로 학술대회를 열고, 연구결과와 학술정보를 교환하고 있다. 고화상 구현을 위한 잉크젯 헤드, 안료와 염료 같은 색재와 잉크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한국의 잉크젯 기술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Kazuhiro NAKAJI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3(6)
- 잡지명
- The journal of imaging society of Japan(C22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73~479
- 분석자
- 이*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