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연·단조의 고정도화 및 고품질화에 관한 해석적 연구(Analytical Study for High Accurate and High Quality Products in Rolling and Forging)
- 전문가 제언
-
□ 냉간 단조품에 대한 치수 정도의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이 연구는 치수 정밀도에 영향을 주는 많은 인자에 대한 연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즉 단조 중에 발생하는 단조응력 및 가공 발열로 인한 금형 및 소재의 열 · 탄성 변형이나 단조 중에 승온한 단조품의 냉각에 의한 수축 등이 영향을 주고 있다. 이것 때문에 제품 치수는 제작 당초에 계획된 것과 다른 것으로 될 수 있으므로 최종 제품의 치수를 예측하여 설계에 피드백하는 것은 보다 높은 레벨의 정밀 단조를 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공냉 과정에서 불균일한 온도 분포가 없어지게 되면 수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수축곡선과 실측 결과를 비교해 보면 거의 정량적으로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이 최종 제품의 치수 변화를 예측하여 이를 금형 초기 치수에 반영하게 되면 제품의 고 정밀도화를 실현시킬 수 있고, 냉간 단조에 있어서는 단조품이 얼마나 고 정밀도화가 되는지는 외경 변화나 열처리에 의한 변형을 예측함으로써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제품 형상에 큰 영향을 주는 인자는 금형의 탄성 변형이고, 치수 절대치에 영향을 주는 것은 열 수축량임을 알 수 있다.
□ 강재의 강인화에 대하여 종전에는 재료의 성분 원소 조정이나 가공 후 열처리에 의한 것이 많았으나, 비용을 고려한 경우에는 종전의 성분 설계나 열처리에 의한 방법으로는 이미 한계에 와 있다. 단조품의 제조기술에 대해서는 새로운 강인화 기술이 필요하며, 이에 대해 소성 가공과 열처리를 조합시켜 가공과 동시에 조직 개선을 제어하게 되면 열처리 단체보다 특성을 향상시키는 가공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단조는 가공 열처리의 하나로 단조 공정 설계에서 재질 예측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저자
- Takashi ISHIKAW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5(527)
- 잡지명
- 소성과 가공(C21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967~973
- 분석자
- 홍*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