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GF 신호에 의한 혈관신생제어(Regulation of angiogenesis by VEGF signaling)
- 전문가 제언
-
□ 척추동물의 순환계는 태생기에 혈관 발생과 신생, 그리고 혈관 리모델링 및 림프관 발생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 인자들 중에서도 VEGF계가 가장 기본적인 혈관제어계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혈관계의 발생과 신생 등의 과정은 주로 VEGF 군(특히 VEGF-A)과 그 수용체 군을 통한 신호전달계에 의해 제어된다는 것이다.
□ 더욱이 혈관신생은 발생기의 혈관형성에 중요한 과정이지만, 잘못된 신생혈관 형성은 여러 가지 질병에 관련되어 있다. 종양증식이나 당뇨병성 망막증, 류머티즘 관절염 등의 병적혈관신생을 수반한 여러 질환에서 특히 VEGF-A의 생성 증대가 밝혀지고 있다.
□ 따라서, VEGF와 그 수용체 시스템은 암이나 염증 등의 병적 혈관신생에 중심적 제어 역할을 하고 있어, 분자표적으로서 그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VEGF-A에 대한 중화항체「Abastin」이 개발되어 ‘04년 미국 FDA로부터 전이성 대장암에 사용이 허가되었다.
□ 한편, 신생혈관형성의 유익한 점도 있다. 수술이나 사고 등으로 인한 손상된 조직이나 상처 치유, 또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혈관재생 등을 위해서는 혈관신생의 유도 촉진이 필요하다. 이처럼 혈관신생은 양면성이 있다는 것이다.
□ 앞으로 혈관신생 억제 · 유도와 관련하여 VEGF와 그 수용체 이외의 다른 혈관계 제어인자와 상호관계의 해석을 비롯한 그들의 작용기구의 해명을 위한 보다 많은 기초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기존 항암제는 주로 암세포가 표적이지만, 혈관신생억제제는 증식하는 내피세포가 표적이므로 부작용과 내성 면에서 장점이 기대되고 있다. 혈관신생 억제제는 일종의 암의 영양 보급로를 차단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이러한 면에서 이 본문에서 기술한 VEGF와 그 수용체를 매개로 하는 신호전달에 의한 혈관신생제어 기구에 대한 해석과 관련인자들의 역할에 대한 연구정보는 병적 혈관신생 제어법의 연구접근과 개발 전략 수립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Masabumi Shibuy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76(12)
- 잡지명
- 생화학(A01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534~1542
- 분석자
- 남*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