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연료의 국제무역- 수입국스웨덴(International biofuel trade—A study of the Swedish) import
- 전문가 제언
-
□ 유럽은 지구의 환경문제나 기후변화와 같은 거시적 문제에 가장 민감하게 대응해 왔으며, 교토의정서에 따른 역내의 온실가스 방출억제에도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1996년에 유럽연합은 2010년까지 역내의 재생에너지 점유율을 2배로 증가시키는 목표를 정하였다. 1997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백서에서 2010년까지 바이오매스의 이용을 3배로 증가시킬 것을 결의하고 있다.
□ 유럽각국은 2008~2010년까지 1990년 대비 CO2 배출을 8%까지 줄이는 한 방안으로 청정에너지원의 사용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특히 목질계 바이오매스가 기후변화를 완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 목질바이오매스는 다른 자원에 비해 비교적 지구상에 널리 고르게 분포된 자원이기 때문에, 이용기술이 확립되고 이용효율성이 인증된다면 화석연료의 단점인 CO2의 유출이 문제되지 않는 재생가능에너지로 인류에게 유익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대부분 발트해 연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바이오연료의 국제교역이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는 것은 필연적이라 하겠다.
□ 이 원문은 스웨덴에서의 바이오연료의 수입흐름, 수입주체 및 교역량을 보여줌으로써 향후 바이오연료의 전 세계적인 교역을 위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저자
- Karin Ericsson, Lars J. Nilsso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26
- 잡지명
- Biomass and Bio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05~220
- 분석자
- 손*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