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Al 및 그 합금 구조, 물리적 성질, 미세조직 및 제조- 제1부(RuAl and its alloys, Part I. Structure, physical properties, microstructure and processing)
- 전문가 제언
-
□ 양호한 상온 연성과 인성을 가진 이 놀라운 금속간화합물인 신물질 RuAl은 머지않은 장래에 백금의 대체물질로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 양론학적 RuAl은 융점이 2,060℃이라니, 당장에 백금(융점 1,772℃)을 피뢰침 끝에서 떼어내고, 현재까지 개발된 기술로 RuAl을 붙이는데 별 문제가 없을 것이다.
□ RuAl 합금의 열-기전력의 온도 의존성이 거의 직선적 변화를 보이는 것은 Pt-Rh계 열전대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서 사용가능한 새로운 열전대의 출현이 예상된다.
□ 백금의 주 소비처는 항공기용 슬리브 베어링 제조용이다. 지상용 내연기관, 수력 발전용 수차(水車) 및 가스 터빈의 슬리브 베어링은 Cu-base, Pb-base 및 Sn-base를 사용하기 때문에 윤활유의 공급이 보장되어야만 작동된다. 그러나 항공기용은 응급 시에 대비하여, 윤활유 공급이 끊어진 후에 베어링과 샤프트가 적열상태(赤熱 狀態)에서 당분간이라도 작동을 보장 받으려고, 비싼 값에도 불구하고 백금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세계 각국이 RuAl 합금에 초미의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바로 이것, “RuAl 합금이 백금을 대체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 RuAl 합금의 용도는 분말야금, 전기 도금, HIP(열간 등압 압축)기술 및 진공 증착 기술과 결합되면 내산화성, 내부식성 및 고온 재료가 요구되는 금속공업, 화학공업 및 항공우주산업 분야에 무궁무진할 것이다.
□ 우리나라도 이제부터 RuAl 합금의 연구 및 개발에 국가 정책적 배려가 필요할 것이다. 이는 개별적 연구기관이나 대학의 힘으로 추진하기에는 너무 벅찬 과제가 아닌가 싶다.
- 저자
- F. Muecklich, N. Ilic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5
- 권(호)
- 13
- 잡지명
- Intermetallic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5~21
- 분석자
- 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