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불포화지방산과 CLA함량이 높은 축산물 생산(Effect of dietary fatty acids on incorporation of long 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in lamb, beef and pork meat: a review)

전문가 제언
□ 소비자의 건강 지향적인 식품선택 및 소비 경향이 증가함에 따라 축산물에서도 n-3지방산 및 공액리놀레산 함량이 풍부한 고기생산 연구가 활발하다. 가축에게 어유, 어분, 아마 종실 및 기름, 목초를 급여하면 근육 내 지방에서 리놀렌산, EPA, DPA함량이 대조구에 비하여 크게 증가 하였으며 DHA의 경우는 이미 합성된 DHA를 함유하고 있는 어유 혹은 어분을 급여할 경우에 가능하였다. 또한 근육지방에 n-3지방산이 증가되면 n-6지방산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n-6/n-3비율은 양호한 고기를 생산할 수 있으나 P/S비율은 큰 변화가 없었다.

□ 반추동물이 생산하는 고기에 CLA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리놀레산 혹은 리놀렌산 함량이 풍부한 사료원을 급여하면 제1위내 수소첨가작용의 대사산물로서 c9t11-CLA가 합성되고 아울러 합성된 trans11-C18 : 1는 흡수 후 지방조직에서 desaturase작용으로 내인성 CLA로 합성된다. 단위동물의 경우도 수소 첨가된 유지를 급여하면 함유된 trans-지방산이 △9-desaturase작용에 의하여 c9t11-CLA가 합성되었으며, 화학적으로 합성한 CLA를 급여하면 항상 근육지방에 축적된 c9t11-CLA 함량이 t10c12-CLA함량보다 더 높다.

□ 합성된 CLA 혼합물을 급여하면 돈육 내 포화 지방산(SFA)으로서 C14 : 0, C16 : 0, C18 : 0는 증가하고 단일 불포화 지방산인 C18 : 1은 감소한다. 포화 지방산인 C14 : 0, C16 : 0는 사람의 죽상경화증 발병원인으로 작용하므로 합성된 CLA 혼합물을 급여하여 생산된 돈육은 CLA뿐만 아니라 더 높아진 포화 지방산도 함께 함유하고 있으므로 그 고기를 사람이 먹을 경우 CLA의 유익한 효과가 서로 상쇄될 수 있는 가능성도 존재하고 있으므로 당초 목적한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 또한 본고에서는 CLA 중 주로 c9t11-CLA에 대한 내용이 주로 취급되었으며 t10c12-CLA에 관하여는 여전히 의문점이 존재한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사람이 CLA를 섭취하면 c9t11-CLA는 주로 항암과 관련된 효과를 발휘하며 t10c12-CLA는 주로 체내 지방 함량 감소 작용과 관련된 측면에 좋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CLA의 경우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한 기초 및 응용연구가 필요하다.
저자
K.Raes,S.De Smet and D.Demey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113
잡지명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99~221
분석자
윤*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