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메탈로센 촉매의 발견과 그의 현황(The Discovery of Metallocene Catalysts and Their Present State of the Art)

전문가 제언
□ 이 논문의 저자인 독일의 Walter Kaminsky는 고분자합성을 위한 촉매연구에 저명한 사람으로서 알려져 있으며 많은 문헌을 참고로 하여 고분자 중합용으로 유용한 촉매인 메탈로센에 대하여 쓴 글이다.

□ Metallocene은 biscyclopentadienyl금속화합물 가운데 비전해질 착체이다. 샌드위치구조의 분자로 되어 있는 화합물의 총칭이다. 그 일반식은 [M(5H5)2] (M=Ti, V, Fe.....등)이다. 처음에는 Fe(II)화합물이 발견되어 그 안정성 및 반응성이 특수한 현상이 알려져 Ferrocene이라고 불렀다. 그 후 같은 구조를 가지는 각종 금속 유도체가 발견되기 시작하여 metallocene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 Metallocene은 중심원자의 종류에 따라 물성이 다른 여러 화합물이 생긴다. 방향족화합물에서 나타나는 metallocene은 전자를 끌어들이는 반응을 하기 쉽다. 그래서 Friedel-Craft반응에 의한 아실화 반응 및 알킬화 반응이 일어난다. 질산 및 할로겐에서는 산화하기 쉽다. 산이 있는 곳에서는 공기로 산화되어 metallocinium이온 [M(C5H5)2]+를 형성한다. 샌드위치 구조는 두개의 cyclopentadienyl 고리가 대칭중심을 가진 한개의 구조로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 저자가 발췌 인용한 촉매는 metallocene골격에 Ti, Al, Zr 등 몇 개의 천이금속을 이용한 촉매를 사용하여 올레핀, 디올레핀, 스티렌의 중합체용 촉매를 개발하였다. 사실 이 metallocene 촉매는 오래전에 그 구조가 알려졌다. 이 논문의 핵심은 이 촉매를 응용하여 고도로 섬세한 미세구조, 취급방법, 입체배열 및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공중합체의 합성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것이다. 아직도 더 개발해야 할 부분이 많이 있으며 현재로서는 응용의 초보단계라고 판단된다. 우리나라는 촉매에 대하여는 무관심한 편이나 다행히 정부 출연 연구기관인 특히 한국화학연구소에서 이 분야의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촉매는 화합물의 합성에 있어 생산성을 높이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주로 수입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저자
Walter Kaminsky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42
잡지명
Journal of Polymer Science: Part A: Polymer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911~3921
분석자
박*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