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하이브리드 용접조건에 따른 비드의 형상(The influence of various hybrid welding parameters on bead geometry)

전문가 제언
□ 하이브리드 GMAW­레이저빔 용접은 용접 입열량을 33% 줄이면서 용접속도를 33%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와 조선과 저장 탱크 제작에 사용되고 박판의 tailored blank 용접에 적용되고 있으며 하이브리드 용접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용접장치와 응용기술이 개발되고 있어 가까운 장래에 하이브리드 용접 기술이 폭 넓게 사용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 하이브리드 용접부의 품질을 높이고 용접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핵심 용접공정 변수의 분석, 용융 풀이 거동 플라스마 현상 분석, 열변형 해석 및 제어, 용접부의 기계적 성질과 야금학적 특성 분석, 그리고 용접부의 신뢰성 평가 등에 관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 현재 선진 기술국은 TWI(영국), Mitsubishi 중공업(일본), NJC와 EWI(미국), ISF/ILT(독일), Fronius International GmbH(오스트리아), Lulea Univ. of Technology(스웨덴) 등을 중심으로 재료별 연구, 용접부의 야금학적 구조의 분석, CO2/Nd:YAG-TIG/GMAW/Plasma 공정별 연구, ,용접 process 변수의 최적화, 복합 용접 공정용 용접 헤드의 상업화 제작과 산업체로의 보급, 용접 이음부의 설계, 용접용 가스의 개발 등에 중점을 두고 활발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 전기 · 전자, 정밀기계, 자동차, 조선 등에서 세계의 선두 그룹에 속해있는 우리나라는 하이브리드 용접 가공기술과 같은 첨단 생산기술의 개발을 강화하고 산업계와 학계 및 연구계에서 개발한 연구성과를 적극 활용하는데 힘을 기울여야 한다. 본고에서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용접조건에 따른 비드의 형상”에 대한 정보는 부가가치가 높은 하이브리드 용접 기술을 발전시키는데 좋은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M. Raye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83(5)
잡지명
Welding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47~153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