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의학 적용을 위한 Ti과 Ti합금의 표면개질 기술동향(Surface modification of titanium, titanium alloys, and related material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 전문가 제언
-
□ 생물의학 분야에 적용하기 위하여 Ti과 Ti합금의 기계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인 성질을 개선하기 위한 표면개질에 관하여 소개하였다. Ti과 Ti합금의 성질은 여기에 알맞은 표면개질기술을 사용하여 연구개발하면 품질이 향상된 최적의 생체이식재료가 개발될 것이다.
□ Ti과 Ti합금을 생체이식재료로서의 품질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세부적으로는 마모성, 부식저항성, 탄성률, 피로강도, 성형성, 비독성 및 기계가공성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자료는 Ti에 대한 이러한 기술적인 평가를 충분히 기술하였기 때문에 최적의 생체이식재료에 대하여 평가할 수 있는 항목과 내용을 파악하는 데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 생체재료로 사용하는 도중에 발생되는 결함의 원인은 생물학적인 환경 중에서 이식재료의 표면에서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비롯되기 때문에, 재료의 표면은 생물학적인 환경과 반응하는데 있어서 극히 결함이 없는 완전무결함을 보증하여야 한다. 이러한 의미로서 Ti과 Ti합금이 생체에 적합한 소재임을 확인시켜주고 생체재료로서 활용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이다.
□ 향후에 내과, 정형외과 및 치과분야 등에 본격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임상학적인 시험을 충분히 거쳐야 한다. 또한 표면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Ti과 Ti합금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표면개질기술의 등장이 예고된다. 그래서 국내에서도 최대한의 정보수집과 기술축적으로 생체에 대한 적응성이 우수한 Ti이 함유된 이식재료를 개발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생각된다.
- 저자
- Liu, XY; Chu, PK; Ding, CX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47(3-4)
- 잡지명
-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R-REPORT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49~121
- 분석자
- 유*천
- 분석물
-